올해 여름 배추 생산량 전망이 평년보다 24.5% 급감해 지난해 여름철의 '금(金)배추 사태'가 되풀이 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고 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은 15일 '농업 관측 6월호' 보고서를 통해 올해 여름 배추 생산량이 23만 6천t으로 평년보다 24.5%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농경연은 "휴경과 기온 상승에 따른 재배 어려움 등으로 재배 면적이 감소할 것으로 보인다"며 "정식기(작물을 밭에다 옮겨심는 시기) 배추 시세가 약세인 것도 재배 면적 감소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분석했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 진열된 배추 이미지. 정기홍 기자
이 같은 배추 생산량 감소는 가격 급등으로 이어질 수 있다.
지난해에도 고온의 날씨에 가뭄까지 겹치면서 여름 배추 생육이 부진해 한 때 전년의 두 배 수준으로 가격이 치솟은 바 있다. 포기당 월간 평균 소매가는 지난 7월 4천 원대에서 8월 6천 원대, 9~10월 8천 원대로 오른 뒤 9월 말에는 1만 원에 육박했다.
농림축산식품부는 배추가 폭등을 막기 위해 역대 최대 규모인 배추 2만 3천t을 비축하기로 했다.
농식품부는 또 기상 재해와 병해충 피해가 발생하면 배추를 곧바로 심을 수 있도록 예비묘를 지난해보다 25% 많은 250만주 확보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안정적인 공급이 지속될 수 있도록 정부는 가용할 수 있는 모든 수단을 총동원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