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인공지능(AI) 모델 '딥시크'(Deepseek)가 이용자 데이터를 과도하게 수집한다는 논란이 일면서, 외교부 등 정부 부처들이 딥시크 접속을 차단했다.

외교부와 산업통상자원부는 5일 자체 판단을 통해 외부 접속이 가능한 컴퓨터에서 딥시크 접속을 제한한 것으로 전해졌다.

두 부처는 공통적으로 외교·통상 등 민감한 기밀 정보를 취급하는 곳들로, 딥시크 제한 조치 역시 생성형 AI 사용 과정에서 민감한 업무 정보가 유출될 수 있다는 우려에 따른 것으로 해석된다.

산업부 관계자는 "산하기관 같은 경우도 보안성 등 내부 검토를 통해 차단하는 것이 맞겠다는 결정을 내렸다"고 말했다.

앞서 행정안전부와 국정원은 지난 3일 중앙부처와 17개 광역 지자체에 딥시크와 챗GPT 등 생성형 AI 사용에 유의해 달라는 내용의 공문을 보낸 바 있다.

공문에는 생성형 AI에 개인정보 입력을 자제하고, 생성형 AI가 내놓은 결과물을 무조건 신뢰하지 말라는 취지의 내용이 담긴 것으로 전해졌다.

국내 기업 등 민간 영역에서도 딥시크 사용 금지가 잇따르고 있는데, 최근 오픈AI와의 공식 파트너십을 발표한 카카오는 "딥시크의 사내 업무 목적 이용을 금지한다"고 사내에 공지한 바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