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작은 여름더위가 시작된다는 소서(小暑)입니다.

하지만 작금의 날씨는 작은 더위가 아니라 전국이 33~38도를 오르내려 푹푹 찝니다.

소서는 24절기 중 11번째에 해당하는데 하지(夏至)와 대서(大暑) 사이의 절기이고 음력으로는 6월, 양력으로는 7월 5~7일에 듭니다.

대체로 이 시기엔 여름 장마가 시작되는데 올해는 장마가 남부 지방에서 잠시 머물다가 거의 끝난 상태입니다. 기상청도 일단 올해 장마는 사실상 끝난 것으로 예상합니다.

폭염이 절정인 6일 오후 서울 강서구 한 아파트 단지의 작은 분수대 모습. 정기홍 기자

절기를 만든 중국에선 소서 직후 15일을 3후(三侯)로 나누었습니다.

우리의 고려사(高麗史)는 이를 따라 초후(初候)엔 따뜻한 바람이 불어오고, 차후(次候)에는 귀뚜라미가 벽에서 살며, 말후(末候)엔 매가 새를 잡기 시작한다고 했습니다.

이때는 직전 절기 하지 무렵 논에 심은 모가 뿌리를 내려 파릇파릇해집니다.

옛날 농가에서는 모를 낸 15~20일 뒤인 소서 무렵에 초벌논매기를 했습니다. 이를 '김매기'라고 하는데, 모내기를 한 무논(물이 있는 논)에 난 피(잡풀)를 뽑거나 손으로 긁어 논바닥 속에 묻습니다.

이때는 또 논둑과 밭두렁에 풀이 많이 나기에 베줘야 합니다. 농업인들은 "돌아서면 잡초가 한뼘씩 자란다"며 혀를 내두릅니다.

또 보리를 베어낸 밭엔 콩, 조, 팥 등을 심었습니다. 요즘은 파종 시기가 빨라졌지요.

채소와 과일도 풍요로운 절기입니다.

제철 채소인 감자, 오이, 애호박 등이 나오고 제철 과일인 자두, 수박, 참외, 토마토 등도 수확합니다.

냇가에서는 다슬기도 잘 자라 잡은 뒤 삶아서 속을 뽑아먹습니다. 수확한 밀과 보리도 도정해 이때부터 먹었습니다.

대체로 음력 6월은 한가한 편이라서 도정한 밀가루 음식을 많이 해먹었다고 전합니다. 요즘 최고의 별미로 자리한 국수나 수제비를 말합니다.

소서 절기 속담 '소서가 넘으면 새 각시도 모 심는다'는 늦은 모내기를 빨리 끝내야 한다는 뜻입니다.

햇볕과 관련해서는 '오뉴월 병아리 하루 볕이 새롭다'거나 '오뉴월 볕 하루만 더 쬐어도 낫다'가 있습니다. 음력 오뉴월에는 햇볕이 좋아 햇볕을 더 쬐면 그만큼 더 자란다는 뜻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