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핵 정국' 관련 6개 기관의 신뢰도 조사에서 헌법재판소 53%, 경찰 48%, 법원 47%, 선거관리위원회 44%,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29%, 검찰 26%라는 결과가 나왔다.
한국갤럽이 지난 11∼13일 만 18세 이상 시민 1001명을 대상으로 '12·3 비상계엄' 사태와 윤 대통령 탄핵심판 관련 6개 기관 신뢰 여부를 조사한 결과다.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 포인트다.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달 4일 서울 종로구 재동?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제5차 변론기일에 참석해 앉아 있다. 헌재
윤석열 대통령이 2월 25일 서울 종로구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자신의 탄핵심판 11차 변론에서 최종변론을 하고 있다. 헌재
헌재의 신뢰도는 6개 기관 중 가장 높았다.
신뢰도 추이는 지난 1월 57%에서 2월 52%로 5%포인트(p) 하락했었다. 3월에 53%로 소폭(1%p) 올랐다.
불신 추이는 1월 31%, 2월 40%, 이달은 39%였다.
탄핵 찬성자의 헌재 신뢰는 76%, 불신은 17%였고 탄핵 반대자는 신뢰 21%, 불신 72%로 정반대 양상을 보였다.
정치 성향별로는 보수층은 신뢰 30%·불신 62%, 진보층은 신뢰 79%·불신 14%로 나타났다. 중도층은 신뢰 59%·불신 34%로 집계됐다.
신뢰도가 가장 낮은 기관은 검찰로 신뢰 26%, 불신 64%로 나타났다.
검찰에 이어 신뢰도가 낮은 곳은 공수처로 신뢰 29%, 불신 59%였다.
1월 조사와 비교해 검찰의 신뢰도는 4%p, 공수처는 14%p 상승했다.
한국갤럽은 "공수처는 주로 탄핵 찬성자, 검찰은 탄핵 반대자에서 신뢰도가 올랐다"고 분석했다.
공수처는 탄핵 찬성자의 신뢰도가 1월 20%에서 46%로, 검찰은 탄핵 반대자의 신뢰도가 1월 29%에서 46%로 크게 올랐다.
채용 비리가 불거졌던 선관위는 '신뢰한다'가 44%, '신뢰하지 않는다'가 48%로, 지난 1월 조사(신뢰 51%·불신 40%)와 반대 결과가 나왔다.
한국 갤럽은 "선관위 신뢰는 성향 중도·보수층을 중심으로 하락했는데 이는 최근 공개된 고위직 간부 자녀 채용 특혜 문제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고 했다.
또 경찰은 신뢰 48%, 불신 41%으로 나타났고, 법원은 신뢰 47%, 불신 41%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는 무작위로 추출된 무선전화 가상번호에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13.4%였다.
자세한 내용은 한국갤럽과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참조하면 된다.
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