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7일 오후 경찰에 검거된 KT 무단 휴대전화 소액결제 피의자인 중국 국적 한국인이 타인으로부터 지시를 받아 범행을 벌였다고 실토했다.

이에 경찰은 ‘윗선’ 등 공범 존재에 무게를 두고 수사를 확대하고 있다.

KT 무단 소액결KT제 사건은 지난달부터 이달 초까지 경기 광명과 서울 금천 등 수도권에서 승합차에 불법 소형 기지국(펨토셀) 장비를 싣고 다니면서 KT이용자들의 휴대전화를 해킹해 무단 소액결제를 한 혐의를 받는다.

17일 검거돼 압송 중인 KT 휴대전화 무단 소액결제 용의자. 경기남부경찰청

범행 후 중국으로 출국해 다시 귀국하다가 체포된 A (48) 씨는 18일 오전 수원지법 안산지원에서 열린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 출석을 위해 법원에 들어가기 전 취재진 질문에 “저는 시키는 대로 했다”고 밝혔다.

앞서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는 16일 인천국제공항에서 정보통신망법 위반 및 컴퓨터 등 사용 사기 혐의로 A 씨를 체포했다.

또 같은날 서울 영등포구에서 컴퓨터 등 사용 사기 및 범죄수익 은닉규제법 위반 혐의로 공범 B(44) 씨도 검거했다.

B 씨는 A 씨가 휴대전화를 해킹해 구매한 모바일 상품권 등을 현금화한 혐의를 받는다.

두 사람은 중국 국적으로, 국내에서 일용직 노동 등을 하며 생활해 왔다.

경찰 조사 결과 IT에 대한 전문성이 없고 이와 관련한 일을 한 적도 없는 것으로 파악됐다.

이들은 또 서로 일면식이 없는 사이인 것으로 조사됐다.

따라서 이 사람이 불법 소형 기지국을 이용해 인증 절차도 뚫는 기술적인 범행을 할 수 있었겠느냐는 의문이 제기됐다.

이에 A 씨가 범행 배후가 있다고 실토했다.

경찰 조사과정에서도 A 씨는 “중국에 있는 윗선의 지시를 받아 범행했다”고 진술했고 “최근 중국에서 윗선 인물을 만난 적도 있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 관계자는 “추가 제3의 공범에 대해서는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수사하고 있다”고 했다.

한펀 이번 범행은 국제적으로도 유례없는 방식으로 이뤄져 실제 조직적인 배후가 있을 가능성도 제기된다.

해외에서 불법 소형 기지국을 이용한 범죄가 있었지만 휴대전화 이용자 개인정보까지 탈취하지는 못했다.

이번 범행은 가입자 개인정보가 필요한 인증 절차까지 뚫고 소액결제를 했다.

체포된 피의자들이 단순히 범행을 실행하는 역할에 그쳐 경찰의 수사가 어려움에 봉착할 우려도 제기됐다.

중국 등 국외에서 이번 범행을 기술적으로 준비하고 설계한 공범이나 조직을 국제 공조로 검거할 수 있는가의 문제다.

이들이 어떻게 소액결제 인증에 필요한 개인정보를 탈취했는지도 수사의 핵심이다.

한편 KT는 이날 “소액결제 피해 가입자는 362명으로 피해액은 2억 4000만 원으로 늘었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