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경기 광명시와 서울 금천구를 중심으로 KT 서비스 이용자의 휴대전화에서 무단 소액결제 피해가 잇따르며 피해 규모가 커지고 있다.
10일 경기남부경찰청 사이버수사대에 따르면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9일 오후 6시까지 경찰에 신고된 KT 소액결제 피해 건수는 총 124건이다. 피해액은 8060만 원으로 파악됐다.
KT 홈페이지 ‘휴대폰결제내역’에서 소액결제 설정을 변경하는 방법. KT 홈페이지
경찰서별로는 광명경찰서 73건(피해액 4730만 원), 금천경찰서 45건(2850만 원), 부천소사경찰서 6건(480만 원) 등이다.
피해자는 모두 KT 가입자이며, KT 전산망을 이용하는 알뜰폰 요금제 가입자도 일부 포함된 것으로 확인됐다.
현재까지 피해가 확인된 곳은 광명·부천시, 금천구 등 3곳이지만 경기 과천시, 서울 영등포구 등에서도 비슷한 유형의 피해가 신고되고 있다.
경기남부청 사이버수사과는 각 경찰서에 접수된 사건을 병합해 수사할 계획이다. 현재까지 61건이 이첩됐고 나머지 63건은 이첩 예정이다.
앞서 지난달 27일부터 이달 5일까지 새벽 시간대 광명시와 부천시, 금천구 등에 거주하는 시민 휴대전화에서 모바일 상품권 구매, 교통카드 결제 등 수십만원이 빠져나가는 사건이 발생했다.
앞서 경찰은 지난달 27일 최초 신고를 접수한 후 피해자들이 특정 통신사를 이용하는 특정 지역 주민이라는 점을 고려, 지난 1일과 2일 KT 본사와 지점, 중개소 등에 연락을 했다.
한편 'KT 소액결제' 사고는 불법 초소형 기지국(미상의 유령 기지국)이 활용된 정황이 드러났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이번 사고 현장조사에서 사고 원인으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 때문일 수 있다는 KT 측 설명을 확보했다고 밝혔다.
KT 등 이동통신사들은 통상 휴대전화와 이동통신망을 연결하는 기지국을 운영한다.
과기정통부는 현장 조사에서 제3의 다른 장소에서도 불법 기지국이 접속할 가능성이 있다고 봤다.
하지만 KT 측은 "운영 중인 기지국 가운데 해커가 사용한 불법 초소형 기지국은 없었다"고 밝혔다. KT는 다만 9일 오전 9시부터 신규 초소형 기지국의 통신망 접속을 전면 제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