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13만 명인 경북 김천시에서 열린 ‘김천김밥축제’에 이틀간 약 15만 명이 다녀간 것으로 추산됐다. 지난해 10만 명을 훨씬 더 뛰어넘었다.

김천김밥축제는 김천 하면 분식집 ‘김밥천국’이 먼저 떠오른다는 설문조사를 계기로 지난해부터 열렸다.

일요일인 26일 경북 김천 사명대사공원과 직지문화공원 등에서 열린 김천김밥축제를 찾은 방문객들이 김밥을 사기 위해 장사진을 이루고 있다. 김천시

방문객이 올린 김밤 세트. 어묵과 떡볶기가 곁들여졌다. 엑스

김밥 판매 부스에 긴 줄이 늘어섰다.

26일 김천시에 따르면 축제 첫날인 전날부터 8만 명이 몰려들었다.

시는 지난해 첫 축제 때 준비한 김밥이 3시간 만에 다 팔려 “김밥 없는 김밥 축제”란 비판을 받았던 것을 거울 삼아 올해는 김밥 수량, 셔틀버스, 주차장, 행사장 등을 최소 4~6배 늘렸다.

시는 지난해와 같은 '김밥 부족 대란' 사태를 피하기 위해 공급 업체를 4배로 늘리고 김밥을 10만줄로 늘렸다. 주차장과 셔틀버스도 5배 늘렸다.

하지만 이런 준비에도 몰려드는 관광객을 감당하지 못해 주차장 6635면은 축제 시작 2시간여 만에 가득 찼고, 행사장 인근 도로 곳곳이 임시 주차장으로 변했다.

준비한 김밥 10만 줄도 축제 마감 시각인 오후 5시쯤 동이 나 김밥 수량을 안내하는 전광판에는 “모든 김밥이 소진되었습니다. 감사합니다”라는 문구가 떴다.

한 방문객은 “2시간 걸려 축제장에 도착했는데 인파가 넘쳐 김밥 사는 데만 반나절 가까이 보냈다”고 했다.

김천시는 최근 미국에서 유행한 냉동김밥 및 '케이팝데몬헌터스'의 김밥 시식 장면이 인기를 끌면서 많은 관광객이 모인 것으로 분석했다.

여기에 지난해와 달리 김밥 준비 등 축제 여건을 개선했다는 소식에 관광객들이 더 몰렸다.

시는 축제 첫날에 이어 이틀째에도 인파가 몰리자 시는 김밥 10만인 분을 추가로 준비했다.

부스별로 1인당 4줄만 김밥을 팔도록 개수 제한도 했다.

한 시민은 현장 취재에 나선 언론 매체에 “김천에이렇게 사람이 몰린 걸 처음 본다”며 “이제 김천 특산물은 자두가 아니라 김밥이라고 해야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