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부터 우윳값이 올랐다. 덩달아 유제품 가격도 일제히 오른다.

유업계에 따르면 서울우유협동조합은 이날 흰 우유 제품 ‘나 100% 우유’(1L)의 출고가를 대형할인점 기준으로 3% 올렸다. 이에 따라 대형마트 판매가는 2900원 대에 형성된다.

하지만 편의점 가격은 더 올라 3050원에서 3200원으로 4.9% 올랐다.

서울우유의 유재품인 요구르트 ‘비요뜨’의 편의점 가격도 1800원에서 2000원으로 인상됐다.

대형마트에 진열돼 있는 우유 제품들. 정창현 기자

매일유업도 우윳값을 4~6% 올렸다.

이에 따라 가공유 제품가는 5~6%, 발효유와 치즈 제품 가격은 6~9% 인상됐다.

남양유업도 흰 우유 제품 ‘맛있는우유GT’(900mL) 출고가를 4.6% 인상했다. 유제품 출고가도 평균 7% 올렸다.

동원F&B는 덴마크 우유를 1800원에서 2000원으로 올렸고 유제품 가격을 평균 5% 인상했다.

빙그레도 오는 6일부터 대형마트를 시작으로 ‘바나나맛우유’, ‘굿모닝우유’, ‘요플레’, ‘투게더’ 등 제품 가격을 인상한다.

바나나맛우유는 편의점 기준 1700원에서 1800원으로 100원 오르고 요플레 오리지널은 8.6%, 투게더의 편의점 판매가는 8.9% 오른다.

낙농진흥회는 지난 8월 음용유용 원유 기본가격을 지난해 대비 88원(8.8%) 오른 1084원으로 결정했다.

올해는 지난해 49원 인상보다 인상 폭이 커졌다. 인건비, 에너지비, 부자재 가격이 올랐기 때문이다.

유업체들은 정부의 고물가 기조에 맞춰 올해 우유 제품 가격을 대형마트 기준 3000원 미만으로 결정했다.

우유를 재료로 쓰는 빵, 커피, 아이스크림 등 가격이 연쇄적으로 오를 가능성이 커졌다.

지난해에도 원윳값이 인상되면서 유제품가가 약 10% 올라 빵은 6%대, 아이스크림은 20%대가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