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정부가 한국에서 생산돼 미국으로 수입되는 제품에 26%의 상호 관세를 부과한다.
당초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브리핑에서 한국의 상호관세율을 25%라고 공개했지만 추후 백악관이 공개한 행정명령 부속서에는 26%로 적시돼 혼란을 빚었다.
트럼프 대통령은 2일 오후(현지 시각) 워싱턴DC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연 ‘미국을 다시 부유하게’(Make America Wealthy Again) 행사에서 이 같은 내용의 상호 관세 방침을 발표했다.
트럼프 미 대통령이 에너지 정책과 관련해 행정명령에 서명하는 모습. 트럼프 대통령은 2일 워싱턴 DC 백악관 로즈 가든에서 상호관세율 발표했다. 백악관
국가별 상호 관세율은 ▲영국 10% ▲유럽연합(EU) 20% ▲일본 24% ▲인도·한국 26% ▲대만 32% ▲중국 34% ▲베트남 46% 등이다.
또 ▲말레이시아 24% ▲남아프리카공화국 30% ▲스위스 31% ▲인도네시아 32% ▲태국 36% ▲캄보디아 49% 등이 적용된다.
적용 기준은 미국의 모든 무역 상대국에 최저 10%의 기본관세를 새로 부과하되, 국가별로 가중치를 뒀다.
백악관은 "10%의 기본관세는 오는 5일 0시 1분부터, 국가별 관세는 9일 0시 1분부터 부과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을 ‘미국 해방의 날’로 칭하면서 무역 상대국에 비해 낮게 책정돼 있는 미국의 관세율을 상대국의 관세율과 같은 수준으로 만드는 것이 목표라고 했다.
그는 다른 국가를 겨냥해 “미국 제품에 막대한 관세를 부과하고 산업을 파괴하기 위해 터무니 없는 비금전적 장벽을 만들었다”며 “미국 납세자들은 50년 이상 갈취를 당해왔으나 더는 그런 일은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세계 최대 시장인 미국이 '일부 국가'와 '품목'을 넘어 모든 수입품에 이 같은 고율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함에 따라 트럼프발(發) 글로벌 ‘관세 전쟁’이 현실화 됐다.
유럽연합(EU) 등 주요 국가들은 보복 조치 방침을 밝혀 그동안 미국 주도 자유무역 기반의 국제통상 질서가 급변할 전망이다.
수출 중심의 경제체제인 한국에는 더 큰 비상등이 켜졌다.
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지난해 대미 수출액은 전년도보다 10.4% 증가한 1278억 달러였고, 지난해 한국의 대미 무역수지는 557억 달러 흑자로 역대 최고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