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은 절기상 청명(淸明)이다. '하늘이 차츰 맑아진다'는 절기다. 바로 다음 날인 5일은 식목일이자 한식(寒食)이다. '찬 음식을 먹는 날'로 알려져 있다.
'하늘이 맑다'는 절기 '청명'인 4일 경남 진주시의 한 저수지 주변의 정취. 못둑엔 지난 늦가을 말라 퇴락한 풀잎 사이로 파릇한 싹들이 돋아나고 있다. 가득한 저수지 물 위로는 뭉개구름이 떠 있다. 청명과 다음 날 한식은 '손 없는 날'로 인식돼 조상의 산소를 찾아 돌본다. 5일은 식목일이기도 하다. 정창현 기자
■청명
▶청명 풍습들
해마다 청명과 한식, 식목일은 같은 날이 되기도 하고 하루를 앞서거니 뒤서거니 한다. 이런 이유로 '청명에 죽으나 한식에 죽으나 매 일반'이라는 속담도 있다. '손 없는 날'로 인식돼 조상의 산소를 돌보고 집수리도 하는 때다.
청명은 24절기 중 5번째 절기로 춘분(春分)과 곡우(穀雨) 사이에 있고 곡우까지를 봄의 절기로 본다.
푸를 청(淸), 밝을 명(明)자가 합쳐진 청명은 '하늘이 차츰 맑아지는 날'이란 뜻이며 "날씨가 청명하다"는 표현도 청명에서 유래됐다. 이 무렵이면 오동나무의 꽃이 피고, 종달새가 울며, 무지개가 처음으로 보인다고 한다.
▶청명 풍습들
농가에서는 청명 절기에 '논밭 갈이'를 한다. 농사 준비는 춘분 때부터 하지만 이 때부터 논밭의 흙을 고르고, 가래질을 하고, 씨를 뿌리는 등 농삿일이 본격화 한다.
조선시대 내병조(內兵曺)에서는 청명에 버드나무와 느릅나무에 구멍을 뚫고 삼으로 꼰 줄을 꿰어 양쪽에서 톱질하듯이 잡아당기면서 비벼 새 불을 일으킨 뒤 임금에게 바쳤다고 한다. 임금은 이 불을 다시 정승과 판서, 문무백관, 고을의 수령에게 나눠줬는데 이러한 풍습을 '사화(賜火)'라고 했다.
불의 주력(呪力)을 이용하기 위해 불을 소중히 여기는 사상을 전승한 것이다.
청명을 전후해 찹쌀로 빚은 술을 청명주(淸明酒)라고 해 담근 7일 후 위에 뜬 것을 걷어내고 맑은 것을 마신다. 또 이 시기에 장을 담그면 맛이 좋다고 해 한 해 동안 먹을 장을 담갔다.
또한 메일국수를 한식면(寒食麵)으로 부르며 해 먹고 쑥단자, 쑥탕, 쑥떡을 만들어 향긋한 쑥냄새에 봄의 정취를 나누기도 했다.
서해에서는 곡우까지 작지만 연하고 맛이 있는 조기잡이로 성시(盛市)를 이루었다고 전해진다.
■한식
▶한식의 뜻과 의미
청명과 같은 날이거나 하루 다음 날 찾아오는 한식은 동지 후 105일째 되는 날이다. 양력으로는 4월 5일 무렵이다.
이 날은 '절기'가 아니라 '명절'로 친다. 요즘엔 거의 잊혀졌지만 조선시대만 해도 청명절이라 하여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여겼다. 국가에서는 종묘와 경령전에서 제사를 지내고, 관리에게 3일의 휴가를 주었고, 죄수의 사형을 금했다는 기록이 있다.
한식은 차가울 한(寒)과 밥 식(食)자가 합쳐진 '찬 음식을 먹는 날'의 뜻을 지닌다.
한식은 원래 우리의 풍습이 아니라 중국에서 들어온 절기였으나 토착화 됐다. 춘추시대 제나라 사람들은 한식을 금연일(禁烟日), 냉절(冷節) 또는 숙식(熟食)으로 불렀다.
한식의 유래는 중국 춘추시대의 인물 개자추(介子推)에 관련된 설화와 고대의 개화(改火) 의례에서 유래했다는 설이 전한다.
개자추 설화에는 '이 날은 풍우(風雨)가 심해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는 습관(習慣)에서 왔다'고 전해진다.
진나라의 문공(文公)이 왕이 되어 이전의 충신들을 포상했다. 이때 과거 문공이 굶주렸을 때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서 바쳤던 충신 개자추가 포상자에 들지못하자 개자추는 상심해 산중으로 숨어버렸다. 문공이 뒤에 잘못을 뉘우치고 그를 찾았다. 하지만 개자추가 산중에서 나오지 않자 불을 놓으면 피해서 나올 것이라는 생각에 불을 질렀다. 개자추는 홀어머니와 함께 버드나무 밑에서 불에 타 죽었다. 이에 그를 애도하는 뜻에서 이 날은 불을 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 풍속이 생겼다고 한다. 후일에 탐천지공(貪天之功), 즉 '하늘의 공을 탐내 자신의 공인 체 한다'는 고사 성어가 생겨났다.
이날 나라에서는 종묘(宗廟)와 각 능원(陵園)에 제향을 지내고 관·공리들에게 공가(公暇)를 줘 성묘를 하도록 했다. 민간에서는 조상의 산소를 돌보고 제사를 지냈다.
개화(改火) 유래설은 원시시대에 오래된 불은 생명력이 없어 인간에게 나쁜 영향을 끼친다고 여겨 기존 불을 끄고 새불을 피우는 의식을 주기적으로 했다고 한다. 이 시기가 구화(舊火)를 끄고 신화(新火)를 점화하는 과도기 구간이라고 여겼다.
▶ 한식 풍습들
한식일의 대표 풍습은 금화(禁火)와 성묘가 있다.
찬 음식을 먹는 날로 여겨 한식이 가까워지면 일정 기간 불을 멀리하고 찬 음식을 먹었다.
왕실에서는 이날 종묘 제향을 지내고 찬 겨울에 허물어진 능묘를 보수했다. 민간에서도 성묘를 하고 제사를 지냈다.
또 한식은 청명과 마찬가지로 악귀가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일명 '손 없는 날'로 여겨 산소에 잔디를 새로 입히거나 비석과 상석을 세우고 이장을 하는 등 산소를 보수한다.
일부 지방에서는 청명에 '내 나무'라고 해 아이가 혼인할 때 농(장농)을 만들어 줄 재목감을 심는 풍습이 있었다. 지금의 식목일인 셈이다.
한식날 놀이로는 함남 지역의 ‘돈돌날이’ 놀이가 알려져 있다.
한식 다음날 함남 북청 지방의 부녀자들이 강가나 모래산 기슭에 모여 달래를 캐고, 오후가 되면 ‘돈돌날이’를 비롯해 20여개의 민요를 번갈아 부르며 춤을 추는 놀이다. 함남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돼 있다. 가난한 북청 사람들은 언젠가 잘 살게 되리라는 희망을 갖고 이 민요를 불렀다고 한다.
이 무렵엔 무엇이든 심으면 잘 자라 '청명에는 부지깽이를 꽂아도 싹이 난다'는 속담도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