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여름 모기가 사라졌다.
장마가 일찌감치 끝나 폭염이 7월 초부터 기승을 부리고, 폭우마저 내리는 등 극한 날씨 탓에 모기 서식지가 거의 없어졌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서식지인 물웅덩이가 없어졌고 그마저 있던 유충과 알도 폭우에 떠내려갔다.
28일 서울시에 따르면 시가 제공하는 현재 모기활동지수는 낮은 단계인 2단계인 '관심' 수준이다.
모기활동지수 예보는 쾌적→관심→주의→불쾌 등 총 4단계로 구분된다.
통상 7월 중순이며 모기예보가 '주의'나 '불쾌' 단계였지만 올해는 22일부터 모기활동지수가 간신히 '관심'으로 올랐다.
모기활동지수가 '100'인 경우 야외에서 야간에서 10분 정도 서 있으면 5번 이상 모기에 물릴 수 있다.
하지만 최근 주간 모기활동지수는 41.7에 불과했다. 7월 중순 이후 모기활동지수는 21일 65.3으로 올랐다가 22일 23.1로 뚝 떨어졌다.
한편 모기는 기온이 15~30도일 때 활발히 활동한다.
폭우보다 따뜻한 날씨에 비가 내리는 환경이 모기 서식에 좋다. 6월 중순에서 8월 중순이 최적의 상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