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실상 실종됐다던 장마가 부활하면서 16일부터 주말까지 전국에 다시 거센 장맛비가 내릴 것으로 예상됐다. 피해에 대비해야 한다.

16일 밤 사이에는 중부 지방과 전북에 시간당 50㎜의 야행성 폭우가 쏟아질 것으로 예보됐다.

기상청은 15일 정례브리핑에서 “동쪽의 북태평양 고기압 세력이 확장 중이고, 북쪽의 건조 공기도 남하 중”이라며 “16~19일 두 세력 사이에서 전국 대부분 지역에 강수가 예상된다”고 밝혔다.

14일 오후 6시 경남 진주시 진성면 일원에 소나기성 강한 비가 내리고 있다. 사이렌스 DB

특히 북서쪽의 건조한 공기와 남동쪽의 고온다습한 공기가 강하게 충돌하면서 좁은 띠 형태의 비구름대가 만들어질 전망이다.

중부지방과 전북에는 16일 저녁부터 17일 아침까지 시간당 30~50㎜의 강한 비가 쏟아질 전망이다.

16~17일 이틀간 경기 남부와 충남 서해안은 200㎜ 이상, 충청 내륙·전북 북서부·강원 중남부 내륙은 150㎜ 이상의 누적 강수량을 기록할 것으로 보인다. 서울 등 나머지 수도권 지역도 50~150㎜의 많은 비가 예상된다.

기상청은 “야간 시간대에 강수가 집중되는 만큼 저지대나 지하차로 등은 침수 사전 대비가 필요하다”며 “천둥·번개 및 돌풍에 대비해 시설물 관리와 낙뢰 사고 예방에도 주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18일과 19일에는 북태평양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유입된 열대 수증기의 영향으로 남부 지방과 제주를 중심으로 강한 비가 예상된다.

이후 무더위가 시작된다.

20일쯤 북태평양 고기압이 한반도를 덮으며 다시 폭염이 기승을 부릴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의 한낮 기온은 20일부터 다음 주 후반까지 32~33도에 머물 전망이다. 대기 중에 수증기가 많아 더울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