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9일)은 삼복 중 말복입니다.

말복(末伏)은 한자어로 끝 말(末)과 엎드릴 복(伏)으로 삼복 중 마지막 복날을 의미합니다.

말복(末伏)은 한자어로 끝 말(末)과 엎드릴 복(伏)으로 삼복 중 마지막 복날을 의미합니다.

매년 7월에서 8월 사이에 드는데 삼복 기간은 여름철 중에서도 가장 더운 때입니다. 올해는 초복이 7월 20일, 중복이 7월 30일이었습니다.

전국 대부분의 지방에 장맛비가 내리고 있습니다. 남부 해안엔 강한 폭우도 내립니다.

삼복은 초복(初伏), 중복(中伏), 말복(末伏)을 말합니다. 무더위를 피하고 몸을 잘 관리해야 하는 시기입니다. 따라서 몸보신에 관한 이야기가 주류를 이룹입니다.

다만 삼복은 24절기에 해당되지 않습니다.

삼계탕 이미지. 신세계

농사철에 맞춘 24절기와 달리 농사와 관련이 없어 잡절(雜節) 또는 속절(俗節)이라고 합니다. 이틀 전(7일)이 입추였고, 14일 후는 처서(23일)입니다.

올해는 6월부터 이른 폭염이 온 이후 폭우와 폭염이 절정을 이뤘습니다.

오늘이 말복이니 극한 더위도 한 풀 꺾이겠지요. 곧바로 꺾이기를 기대합니다.

삼복은 10일 틈으로 초복, 중복, 말복으로 이어집니다.

이처럼 삼복이 20일 만에 들면 매복(每伏)이라고 하고 10일 간격을 넘으면 월복(越伏)이라고 합니다. 대체로 7대 3 정도로 월복인 때가 많다고 합니다. 2015~2022년, 8년간 모두 월복이었습니다. 2023년부터 매복으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삼복은 음력 기준이 아니고 24절기와 일진을 기준으로 정하기에 소서(양력 7월 7일 무렵)에서 처서(양력 8월 23일 무렵) 사이에 듭니다.

잡절인 삼복에는 꼭 지켜야 할 풍습은 없으나 예로부터 전해오는 풍습들은 더러 있습니다.

그 중에 '복달임 음식'이 대표적입니다. 복달임은 복(伏)이 들어 무척 더운 철을 뜻합니다.

사마천의 '사기'에 따르면, 진(秦)나라 덕공(德公) 2년(기원전 676년)에 처음으로 복날을 만들어 개를 잡아 열독(熱毒)을 다스렸다고 전합니다.

복(伏)자는 사람인 변(人)에 개 견(犬)자가 합쳐진 것이라며 복날엔 개고기를 먹어야 한다는 속설도 있습니다.

예로부터 삼복에는 고칼로리 영양식을 먹어 무더위로 지친 기력을 보충해야 했었는데 선호한 것이 고기였습니다. 전통적인 복날 보양식은 대부분 이열치열 음식입니다.

대표 보양식은 삼계탕이고 닭백숙, 보신탕, 육개장, 민어, 장어, 추어탕, 설렁탕, 용봉탕, 전복죽, 흑염소 등을 먹습니다.

육개장이 복날에 먹었던 음식이란 걸 잘 모릅니다. 보신용으로 장어를 먹는 것은 일본의 영향이라고 합니다.

닭고기는 요즘 삼계탕이 아니라도 찜닭, 불닭, 닭도리탕, 치킨 등으로 대신합니다.

특히 개고기 식용을 금지하면서 그 자리를 흑염소 고기가 대신합니다. 흑염소고기는 레시피가 개고기와 비슷해 보신용으로 인기를 끕니다.

팥죽을 먹기도 하는데 악귀와 더위를 물리친다는 의미입니다.

육류를 마음껏 먹기 힘들었던 땐 증편(멥쌀가루에 막걸리를 넣고 반죽해 더운 방에서 부풀려 찐 떡), 주악(찹쌀가루를 송편처럼 빚어 기름에 지진 떡), 백설기를 별식으로 먹기도 했습니다.

요즘은 냉방시설이 좋아지고 평소에 잘 먹어 복날에 꼭 보신 음식을 챙겨먹을 필요는 없습니다. 이런 이유로 복날에 냉면과 같은 시원한 음식을 찾는 사람도 많아졌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