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혁신당은 26일 “나라 전체가 ‘이재명 로펌’의 분점처럼 보인다. 국민 세금이 사실상 대통령의 변호사비로 쓰이고 있다”고 직격탄을 날렸다.

특별히 이재명 대통령의 ‘대장동·쌍방울 사건’ 변호인 출신인 조원철 법제처장과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의 사퇴를 요구했다.

조원철 법제처장이 지난 2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법제사법위원회의 법제처에 대한 국정감사에서 주진우 의원 질의에 듣고 있다. 국회방송

개혁신당 이동훈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내고 “이 대통령의 변호인들이 이제 나라를 망치고 있다. 그들은 한때 이재명을 변호하던 변호사였고, 지금은 이재명을 지키는 공직자”라고 했다.

이 수석대변인은 “공직을 맡은 게 아니라 ‘이재명 방패’ 임무를 이어받은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 대통령의 개인 변호인단이 정부 요직을 싹쓸이했다. 이게 나라인가. 사법 리스크가 많은 사람을 대통령으로 뽑은 대가를 국민이 톡톡히 치르고 있다”고 힐난했다.

이어 “공직은 충성의 보상이나 방탄의 은신처가 아니다. 이재명이라는 이름 하나로 자리를 차지한 자격 없는 자들은 모두 공직에서 내려와야 한다”고 요구했다.

이 수석대변인은 앞서 조 처장이 이 대통령의 범죄 혐의 모두가 무죄라는 한 데 주장에 대해 “법령을 해석해야 할 법제처장이 스스로 대통령의 개인 변호인임을 고백한 것”이라며 “이쯤 되면 공직자가 아니라 권력 변호사”라고 일갈했다.

앞서 조 처장은 지난 24일 국회 법제사법위 법제처 국정감사에 출석해 대통령 당선으로 중단된 이 대통령의 12개 혐의, 5개 재판에 대해 “무고한 이 대통령을 검찰권을 남용해 기소한 것”이라고 밝혔었다.

또 이 원장에 대해선 “고도의 금융 전문성이 요구되는 자리를 꿰찬 문외한 인사”라며 “이뿐 아니라 최악의 내로남불 행태를 보였다”고 밝혔다.

이 원장이 참여연대 사회복지위원회 실행위원으로 활동하던 2017년 한 외부 강연에서 “헌법에 다주택 금지 조항을 넣고 싶다”고 했다가 2년 후 서울 서초구에 아파트 2채를 보유한 사실이 드러났다.

이찬진 금융감독원장이 21일 서울 여의도 국회 정무위원회에서 열린 국정감사에서 김상훈 의원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국회방송

이 수석대변인은 “말은 서민의 편이었지만 행동은 투기꾼”이라며 “(이 원장이) 국감에선 ‘한두 달 내 정리하겠다’고 하더니, 결국 자녀에게 증여하겠다고 했다. 국민이 우습게 보이는 모양”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런 사람이 금융 정의를 말할 자격이 있나”라고 혀를 찼다.

더불어민주당 김현정 원내대변인은 이날 오후 야권을 향해 “헌정을 유린한 법치 파괴 세력임을 자백하고, 비정상의 정상화를 향한 사법 개혁에 발목 잡는 행위를 즉각 중단하라”며 “(야당의) 조 처장 사퇴 요구는 법치 수호라는 가면 뒤에 숨어, 과거 자신들의 정치 사법 공범들을 비호하기 위한 방탄 요구에 불과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