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대장)은 17일 위아래가 뒤집힌 동아시아 지도를 거론하면서 "한국은 북한뿐 아니라 중국과 러시아의 위협을 동시에 억제할 수 있는 전략적 중심축(pivot)"이라는 견해를 내놓았다.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 주한미군

거꾸로 보는 동아시아 지도. 제이비어 브런슨 주한미군사령관은 17일 위아래가 뒤집힌 동아시아 지도를 거론하며 한국이 전략적 중심축이라고 했다.

브런슨 사령관은 이날 주한미군사 홈페이지에 뒤집힌 동아시아 지도와 함께 해설글을 올려 "이곳(한국)에 배치된 전력은 가장 구체적이고 실질적 억제력이며, 동북아 안정의 핵심 기반 요소"라고 주장했다.

이어 “캠프 험프리스(평택 미군기지)는 평양에서 약 158마일, 베이징에서 612마일, 블라디보스토크에서 500마일로, 잠재적 위협과 가깝다”고 했다.

그는 “베이징 관점에서 보면 (한국의) 전략적 가치는 더 분명해진다”며 “베이징 입장에선 주한미군 오산 공군기지는 원거리 위협이 아니라 가까운 위협”이라고 했다.

또 뒤집힌 동아시아 지도에선 한국, 일본, 필리핀 3국의 전략적 협력 필요성도 느낄 수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 지도가 주는 가장 중요한 것은 3국을 연결하는 전략적 삼각형의 존재”라며 “(미국과) 상호방위조약을 한 3국을 각각 삼각형 꼭짓점으로 보면 이들의 집단적 잠재력은 분명해진다”고 했다.

특히 "뒤집힌 지도에서 보면 3국이 분리된 양자 관계가 아닌 하나의 연결된 네트워크로 보인다"고 해 북-중-러 견제를 위해 미국, 한국, 일본, 필리핀 4자 협력의 틀이 필요하다는 입장을 보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