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은 16일 자신의 페이스북에 한강버스 멈춤사고와 관련해 ‘한강버스, 어떠한 경우라도 승객의 안전을 최우선으로 하겠습니다’란 글을 올리고 “승객 여러분께 불안과 불편을 끼쳐드려 송구하다”고 밝혔다.

오 시장은 “관리 감독기관으로서, 원인을 철저히 파악하여 부족한 부분은 신속하게 보완하겠다”면서도 “안전 문제를 정치 공세의 도구로 삼는 행태는 바람직하지 않다”고 강조했다.

오세훈 서울시장. 서울시

서울시에 따르면 승객 82명을 태우고 잠실로 가던 한강버스 102호 선박은 15일 오후 8시25분쯤 잠실선착장 인근 100m 부근에서 강바닥에 걸려 멈췄다. 이후 출동한 119 수난구조대 및 한강경찰대가 오후 20시36분쯤 승객 이선을 시작했고 탑승객 전원은 오후 9시14분쯤 선착장으로 모두 무사히 이동했다. 시 미래한강본부는 “직접적인 사고 원인은 항로 이탈에 따른 저수심 구간 걸림이며 간접적 원인은 저수심 구간 우측 항로 표시등(부이) 밝기 불충분으로 추정된다”고 밝혔다.

이민경 서울시 대변인도 이날 입장문을 내고 “시민 여러분께 불편을 끼쳐드린 점에 대해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면서도 여당을 향해 정치적 공세로 시민 불안을 가중시키지 말라고 강조했다. 이 대변인은 “서울시는 사고 발생 즉시 승객 안전을 최우선으로 대응했고, 그 과정에서 모든 안전 절차가 정상적으로 작동했다”며 “현장의 구조·대응 체계는 매뉴얼에 따라 신속하고 체계적으로 가동됐다”고 강조했다. 이어 “민주당은 한강버스의 안전 문제를 과장하여 정치적 공세로 활용하고, 불필요하게 시민 불안을 가중시켜서는 안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시는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19일 오후 7시 만조 시점 물 때에 맞춰 선박 부상시 인양할 것”이라고 알렸다. 한강버스는 당분간 한남대교 남단 마곡~여의도 구간에 대해서만 부분운항할 계획이다. 압구정·옥수·뚝섬·잠실 등 한남대교 상류 항로는 수중 탐사, 저수심 구간 토사퇴적 현황 확인, 부유물 및 이물질 제거, 선기장 교육 강화 등 안전조치 강화에도 나설 예정이다.

한강버스가 여의도 선착장으로 이동하고 있다.서울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