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역 당국이 최근 빈발하고 있는 빈대를 박멸하기 위해 새로운 살충제 사용을 검토하기로 했다.

국내에서 출몰한 빈대가 기존에 사용해오던 피레스로이드계 성분 살충제에 내성을 보인다는 지적에 따른 것이다.

질병관리청은 6일 서울 용산구에서 방역전문가, 방역업체 관계자 등과 함께 ‘빈대 발생 현황 관련 회의’를 열고 이 같은 방안을 논의했다.

빈대 모습

최근 국내에서 주로 출몰하는 빈대 종은 반날개빈대와 일반 빈대인데 이 종은 피레스로이드계 살충제에 저항성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질병청은 “외국에서는 이미 저항성 문제 때문에 다른 살충제를 사용하고 있다”며 “대체 살충제 사용 검토를 환경부와 적극 협의 중”이라고 했다.

질병청은 "해충 방역업체들이 숙박업소 등에서 채취한 빈대 샘플을 받아 종류와 특성을 분석하고 살충제 저항성 등을 확인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빈대는 과거 흔했으나 1960년대 새마을운동과 1970년대 DDT 살충제 방역 등을 계기로 거의 사라졌다.

하지만 지난 2006년부터 빈대 출몰 신고가 더러 있었고 등장하더니 최근에 숙박업소, 찜질방 등을 중심으로 관련 신고가 잇따르고 있다. 프랑스 등 해외엔 빈대가 창궐하고 있다.

최근 국내 빈대 발생은 입국자들을 중심으로 유입된 것으로 추정된다.

한편 정부 합동대책본부는 7일부터 현황판을 만들어 전국의 빈대 상황을 파악하기로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