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은 16일 "과거와의 단절에 저항하고 당을 탄핵의 바다에 밀어 넣고 있는 나경원·윤상현·장동혁 의원, 송언석 대표는 스스로 거취를 밝혀야 한다"고 직격했다.

윤 위원장은 이날 당사에서 기자 간담회를 열고 "인적 쇄신 1차분"이라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20일 의원총회를 연다는 데 이 자리에서 107명 의원 전원은 계파활동을 근절하고 당의 분열을 조장하지 않겠다는 결의를 하고 서약서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윤희숙 국민의힘 혁신위원장이 16일 국민의힘 당사에서 기자간담회를 열고 '1차 인적 쇄신안'을 밝히고 있다. 채널A

윤 위원장은 “지금 국민과 당원이 국민의힘에 가장 바라는 것은 쇄신을 부지런히 해서 새로운 모습을 보이라는 것으로 확신한다”며 “지난 일요일에 당이 이 지경 오게 되기까지 책임 있으신 분들이 사과해달라고 촉구했지만 오히려 과거와의 단절 필요성을 부정하고 비난하는 모습을 보였다”고 했다.

이어 “윤 전 대통령과의 제대로 된 단절을 해달라는 당원들의 열망을 배신하고 오히려 윤 전 대통령에게 더 가까이 붙는 모습까지 나타났다”며 “이것은 광화문 광장의 세력을 당의 안방에까지 끌어들인 것”이라고 했다.

앞서 국민의힘 지도부들이 지난 14일 국회도서관에선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실 주최로 ‘무엇을 할 것인가? 자유공화 리셋코리아를 위하여’ 창립 준비 발대식과 토론회에 참석해 논란이 됐던 것을 꼬집은 것이다.

이들 참석 의원은 지난겨울 서울 한남동 윤 전 대통령 관저 앞에서 탄핵 반대 시위를 주도했던 이른바 ‘윤 어게인(YOON Again)’ 인사들이 주축이었다.

윤 위원장은 “저는 그 자리에 갔던 의원님들께 질문하고 싶다. 대체 의원님들께 계엄은 계몽입니까? 아직도 추억입니까? 국민과 당원에게 계엄은 악몽입니다”라고 했다.

그는 이어 친윤(친 윤석열)과 친한(친 한동훈)를 포함해 계파 활동도 청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 위원장은 “절망스러운 것은 지난 3일 간에도 계파 싸움이 계속됐다는 것”이라며 “3년 전에는 친윤계파가 등장해 당 의사 결정을 전횡하더니 이제는 소위 친한이라는 계파는 ‘언더73′이라는 명찰을 달고 버젓이 계파 이익을 추구하고 있다”고 했다.

윤 위원장은 “혁신은 과거를 응징하는 것이기도 하지만 더 중요하게는 바로 지금을 고치기 위해서 과거를 돌아보는 것”이라며 “그런데 혁신을 하겠다면서 혁신위를 꾸려놓고 지금도 과거와 똑같은 잘못을 반복하는 것은 당이 일어서기를 간절히 바라는 우리 당원들을 또다시 좌절시키는 행동”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