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최대 150발의 핵무기를 보유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기존의 핵탄두 보유 추정량보다 2~3배 많다.
2030년까지는 200여 발, 2040년까지는 400여 발을 보유할 것으로 전망됐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핵 추진 잠수함 건조 실태를 시찰하고 있다. 평양 조선중앙통신
이상규 한국국방연구원(KIDA) 핵안보연구실장은 26일 서울 용산구 국방컨벤션에서 KIDA 주최로 열린 ‘2025년 북한군사포럼’에서 “북한은 핵물질 생산 능력을 증대하기 위해 관련 시설 증설과 신설에 나서고 있다”며 이같이 발표했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지난 2023년 초 조선노동당 전원회의를 통해 “핵탄 보유량을 기하급수적으로 늘릴 것”을 지시했다.
이후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지난 8월 보고서에서 북한 영변에 우라늄 농축시설로 추정되는 건물이 신설됐으며, 이 시설을 활용해 우라늄 농축 활동을 확대할 가능성이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이 실장의 분석에 따르면 올해 기준 북한의 우라늄탄 추정 수량은 115∼131발, 플루토늄탄 추정 수량은 15∼19발, 총 핵무기 추정 수량은 127∼150발이다.
미국 의회조사국(CRS)이나 스톡홀름국제평화연구소(SIPRI) 등은 현재 북한의 핵탄두 보유량을 50개 정도로 추정하고 있다.
이 실장의 추정치는 영변과 강선 등에 우라늄 농축시설이 늘어난 점을 반영했다.
이 실장은 “우라늄탄의 경우 2030년 최대 216발, 2040년 386발, 플루토늄탄은 2030년 27발, 2040년 43발까지 늘어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총 핵무기 추정 수량은 2030년 최대 243발, 2040년 429발로 추정했다.
이 실장은 북한의 핵추진잠수함과 관련, “원자로와 전투체계, 수직·수평발사체계, 소나 등 주요 하부체계 및 장비가 아직 완전히 탑재되지 않았을 가능성이 높다”며 “다만, 잠수함 탑재를 위한 특정 농축도(20%) 이상의 소형원자로 개발은 10년 이상의 기간이 소요될 것”으로 전망했다.
이어 “러시아가 5000∼6000t급 잠수함 설계와 건조 등에 필요한 기술, 소재, 부품, 경험 등을 북한에 일부 제공 또는 지원할 가능성이 있다”고 했다.
이 실장은 “한국은 정확한 상황 인식과 신속한 결단을 구현하기 위한 의사결정 체계를 수립해야 한다”며 “이를 위해 국가안보실을 중심으로 민·군·정부 부처를 통합하는 전략적 억제위원회를 국가안전보장회의(NSC) 산하에 신설해야 한다”고 제안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