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쭉날쭉한 날씨 속에 서울에서도 벚꽃이 피었다.

기상청은 1일 서울에 벚꽃이 폈다고 공식 발표했다.

서울에 벚꽃이 공식 개화한 1일 경기 고양시 일산 킨텍스 인근 벚꽃. 활짝 피고 있는 벚꽃 속에 많은 벚꽃이 말라비틀어져 있다. 정기홍 기자

서울의 벚나무 개화는 종로구 송월동 서울기상관측소 앞에 심어진 왕벚나무(관측목)를 기준으로 한다. 이 나무의 한 가지에 3송이 이상 꽃이 피면 벚꽃 개화를 공식화한다.

서울기상관측소 왕벚나무는 수령이 60년 이상인 아름드리로, 이 나무가 심어진 이곳은 국가등록문화재다.

올해 개화일은 역대 두 번째로 빨랐던 지난해(3월 25일)보다 일주일 늦었지만 역대 5번째로 이르다. 되레 평년(4월 8일)보다 일주일 앞섰다.

기상청이 개화를 관측한 지난 1922년 이후 가장 빨리 벚꽃이 핀 때는 2021년 3월 24일이었다.

송월동보다 다소 남쪽인 영등포구 여의도동 윤중로 벚나무는 하루 빠른 지난달 31일 개화한 것으로 기록됐다. 지난해보다 5일 늦고 평년보다 6일 빠르다.

윤중로 벚꽃 개화는 영등포구 수목 관리번호 118~120번 벚나무를 관측목으로 삼는다.

'찰나의 꽃'으로 불리는 벚꽃은 개화하면 보통 2일 정도 지나면 만개한다. 나무 꽃망울이 80% 이상 꽃으로 피면 만개로 본다.

서울 평년 벚나무 만개일은 '4월 10일'이다.

서울 벚나무 개화일은 지속 당겨지고 있다.

지난 1922~2013년 서울에서 3월에 벚나무가 개화한 적이 없었다. 1922년엔 4월 14일이 개화일이었다.

3월 개화는 2014년 3월 28일 처음이었고 이후 3월 하순~4월 초에 피고 있다.

개화가 빨라지는 이유는 온난화 때문으로 추정된다. 실제 3월 평균기온은 지난 51년 사이 2.6도 상승했고 4월 평균기온은 0.8도 올랐다.

변화가 큰 날씨로 생태계에 변화 조짐도 나타나고 있다.

최근엔 산수유, 목련, 벚꽃, 개나리, 진달래 등 봄꽃이 동시에 피고 있다.

꽃이 피는 시기의 변화는 꽃가루와 꿀 등을 먹이로 삼는 곤충의 생존에 영향을 주고 곤충을 매개로 수분하는 식물이 열매를 맺는 데도 큰 영향을 끼친다. 사과 파동의 한 원인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