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5일)은 한식(寒食)입니다. 서울 등 중부 지방에는 봄비가 촉촉히 내립니다. 중부 지방엔 오늘 하루 5~20mm가 내린다니 대지는 곧 이어 물을 머금고서 꽃을 피우고, 파릇파릇한 잎을 돋우겠지요. 중부 이남에도 작지만 비가 내립니다.

한식은 청명과 같은 날이거나 하루 다음 날입니다. 양력으로 4월 5~6일에 듭니다. 전날 청명(淸明)은 '절기'이지만 한식날은 '명절'입니다.

한식은 찰 한(寒) 밥 식(食), 즉 '찬 음식을 먹는 날'입니다.

잘 정돈된 경남 진주시 진성면 구천리에 있는 금관가야의 시조 김수로왕 후손들의 공동 묘. 진주시 상촌리에 세거(世居·대대로 삶) 하는 김수로왕 한 후손 가문에서 이곳에 공동으로 묘를 만들었다. 사이렌스 DB

예전엔 한식을 설날, 단오, 추석과 함께 4대 명절로 쳤습니다. 지금도 세시풍속으로 전해져 제를 올리고 시절 음식을 해먹습니다.

한식은 고려 때부터 국가에서 큰 명절로 여겨 종묘 등에서 제사를 지냈다고 합니다. 관리에게는 3일의 휴가를 주었고, 죄수의 사형을 금했다는 기록이 전해집니다.

조선시대 후기에 쓴 '동국세시기'의 삼월조에는 한식에 대해 "산소에 올라가 제사를 올리는 풍속은 설날, 한식, 단오, 추석 네 명절에 행한다. 술, 과일, 식혜, 떡, 국수, 탕, 적 등의 음식으로 제사를 올리는데 이것을 명절 하례 혹은 절사(節祀)라 한다. 선대부터 내려오는 풍속이 가풍에 따라서 다소간 다르지만 한식과 추석이 성행한다. 까닭에 사방 교외에는 사대부 여인들까지 줄을 지어 끊이지 않았다"고 기록합니다.

당시 한식이 큰 명절이었음을 알 수 있습니다.

한식은 우리의 풍습이 아니라 중국에서 들어와 토착화 됐습니다.

중국 춘추시대 제나라 사람들은 한식을 금연일(禁烟日), 냉절(冷節) 또는 숙식(熟食)이라고 불렀습니다.

■한식 유래

유래는 ▲춘추시대의 인물 개자추(介子推) 설화 ▲고대의 개화(改火) 의례 유래 설이 전합니다.

개자추 설화는 진나라의 헌종 아들 9명 중 가장 뛰어났던 문공(文公)이 왕이 된 뒤 뜻을 같이했던 충신들을 포상했습니다. 그런데 과거 문공이 굶주렸을 때 자신의 넓적다리 살을 베어서 바쳤던 충신 개자추가 포상자에 들지 못했습니다. 개자추는 실망해 면산으로 들어가 숨어버립니다.

문공이 한참 뒤에 잘못됨을 알고 개자추를 찾았으나 그는 산중에서 나오지 않았습니다. 문공은 산에 불을 놓으면 불을 피해 나올 것이라는 생각에 불을 질렀는데 개자추는 끝내 나오지 않고 홀어머니를 껴안고 버드나무 밑에서 불에 타 죽었습니다.

이에 개자추를 애도하는 뜻에서 이날은 풍우(風雨)가 심해 불을 금하고 찬 음식을 먹는 관습(慣習)이 생겼다고 합니다.

이날 나라에서는 종묘(宗廟)와 각 능원(陵園)에 제향을 하고 관리와 공리들에게 공가(公暇)를 줘 조상의 성묘를 하도록 했고, 민간에서는 조상의 산소를 돌보고 제사를 지냈습니다.

이날 비가 내리면 ‘물한식’이라고 하며 그 해 풍년이 든다는 속설이 있습니다. 오늘 중부 지방에는 비가 옵니다.

후일에 이를 근거로 '탐천지공(貪天之功)'이란 고사성어가 생겼습니다.

'하늘의 공을 탐 내 자신의 공인 체 한다'는 뜻인데, 개자추가 신하들이 앞다퉈 문공이 왕이 된 것은 자신의 공 때문이라며 나서는 것을 보고 탄했다는 데서 유래됐습니다.

개화(改火) 유래설은 원시시대에 오래된 불은 생명력이 없어 인간에게 나쁜 영향을 끼친다고 여겨, 기존 불을 끄고 새 불을 피우는 의식을 주기적으로 했다고 합니다. 묵은 불을 끄고 새 불을 기다리는 '사화(死火) 의식'입니다.

봄이 오는 이 시기를 구화(舊火)를 끄고 신화(新火)를 점화하는 과도기 구간이라고 여겼습니다.

이날은 풍우(風雨·바람과 비)가 심해 불을 금하고 찬밥을 먹는 풍습이 생겼다고 합니다.

일각에서는 개자추 설화는 이야기가 그럴 듯하지만 이미 원시 때부터 있어 왔던 개화 의식 관습에서 파생됐다며 개화설에 더 무게를 둔다는 주장도 합니다.

우리나라에서는 한반도 북쪽이 남쪽에 비해 한식을 더 중요시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 한식 풍습들

한식은 청명과 같은 날로 여겨 풍습을 특별히 구분하지 않습니다.

한식일의 대표 풍습은 금화(禁火)와 성묘(省墓)가 있습니다.

개자추를 애도하는 뜻에서 불을 쓰지 않고 찬 음식을 먹는 날이라고 여겨 한식이 가까워지면 일정 기간 불을 멀리했습니다.

이날엔 시절 음식인 쑥떡, 화전(花煎·꽃부침개), 창면(昌麵·녹두녹말로 만든 면), 화면(花麵·삼월삼짇날 먹는 화채)과 진달래로 빚은 두견주 등의 음식을 마련해 나눠먹었습니다.특히 찬 메일국수는 한식면(寒食麵)으로 부르며 먹었다고 합니다.

또 한식은 청명과 마찬가지로 악귀가 인간에게 해를 끼치지 않는 이른바 '손 없는 날'로 여겨 겨울에 얼었다가 녹으면서 흘러내린 산소의 흙을 보완하고 잔디를 새로 입히거나 산소 근처에 자란 쑥, 가시덤풀을 뽑고 벱니다.

비석과 상석을 바로세우고 이장을 하는 등 산소를 보수하곤 했습니다.

한식날 놀이로는 함남 지역의 ‘돈돌날이’이 알려져 있습니다.

한식 다음 날 함남 북청 지방의 부녀자들이 강가나 모래산 기슭에 모여 달래를 캐고, 오후가 되면 ‘돈돌날이’ 등 20여 개의 민요를 번갈아 부르며 춤을 추는 놀이입니다. 함남 무형문화재 제1호로 지정돼 있습니다.

북청 사람들은 가난했지만 언젠가는 잘 살게 되리라는 희망을 갖고 이 민요를 불렀다고 합니다. 일제강점기에는 식민지 땅이 다시 우리의 손에 되돌아온다는 뜻으로 해석해 항일 성격의 민요로 인식됐습니다.

일부 지방에서는 청명·한식에 '내 나무'라고 해 아이가 커서 혼인할 때 농(장롱)을 만들어 줄 재목감을 심는 풍습이 있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