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인정보 유출 우려로 논란이 됐던 중국의 생성형 인공지능(AI) 업체인 ‘딥시크(DeepSeek)’가 국내 서비스를 잠정 중단하기로 했다.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개선 및 보완을 거친 뒤 서비스를 재개한다.

개인정보보호위원회는 17일 보도자료를 내고 “딥시크 앱의 국내 서비스가 15일 오후 6시부터 잠정 중단됐다”며 “국내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른 개선·보완이 이뤄진 후에 서비스가 재개될 예정”이라고 밝혔다.

개인정보위는 “딥시크 서비스를 시정하기까지는 상당한 시일 소요가 불가피하다고 판단해 추가 우려가 확산되지 않도록 잠정 중단 후 개선·보완하도록 딥시크 사에 권고했다”고 덧붙였다. 딥시크도 이를 수용했다.

다만 이번 잠정 중단은 딥시크 앱 마켓에서 신규 앱 다운로드를 제한하는 조치로, 기존 앱 이용 및 웹 서비스 이용은 제한되지 않는다.

개인정보위는 기존 이용자들에게 “최종 결과 발표 전까지는 딥시크 입력창(프롬프트)에 개인정보를 입력하지 않는 등 신중하게 이용해달라”고 당부했다.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 로고

앞서 정부 주요 부처와 기업들은 딥시크에서 개인정보를 과도하게 수집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되면서 딥시크 접속을 잇따라 차단했다.

개인정보위도 지난달 31일 중국 딥시크 본사에 데이터 수집과 처리 방식 등과 관련해 공식 질의를 보내고, 서비스에 대한 자체 분석에 착수했다.

개인정보위는 분석 결과, 제3사업자와 통신 기능 및 개인정보 처리방침상 미흡한 부분이 일부 확인됐다고 설명했다.

딥시크는 지난 14일 글로벌 서비스 출시 과정에서 한국의 보호법에 대한 고려가 일부 소홀했다며 앞으로 개인정보위에 적극 협력하겠다는 의사를 표명한 것으로 전해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