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서울 지하철 1~8호선 273개 역 중에서 승객이 가장 많이 이용한 역은 2호선 잠실역이었다. 하루 평균 15만 6177명이 승하차 했다.
서울교통공사가 19일 발표한 ‘2024 수송통계’에 따르면 잠실역은 광역환승센터가 있고 지난해 8호선 별내선이 연장 개통되면서 승객 유입 증가했다. 또 잠실구장 프로야구 관객도 많았다.
2위는 2호선 홍대입구역(15만 369명), 3위는 2호선 강남역(14만 9757명)이었다.
서울지하철 노선도. 서울교통공사 홈페이지
강남역은 1997년 이후 2022년까지 26년간 1위를 지키다가 2023년 잠실역에 1위 자리를 내주며 2위로 밀려. 이후 지난해에는 3위로 하락했다.
반면 승하차 승객이 가장 적었던 역은 2호선 신정지선 도림천역이었다. 하루 평균으론 2615명에 그쳐 잠실역 60분의 1수준이다.
성수역이 13위로 치고올라왔다. 인근에 카페와 맛집 등이 인근에 밀집해 있다. 지난해 하루 평균 8만 8059명이 승하차 했다.
성수역은 2018년엔 42위였지만 2022년 17위, 2023년 15위에 지속 상승했다.
퇴근 시간 지하철 2호선 성수역 출입구 모습. 시민들이 지하철을 타기 위해 수십m에 달하는 줄을 서 있다. 온라인 커뮤니티
가장 붐비는 시간대는 퇴근 무렵이며 오후 6~7시였고 금요일에 가장 많다. 일요일은 가장 적었다.
승객이 가장 많았던 날은 봄꽃 축제철인 ‘3월28일 목요일’이었다. 하루 평균 660만 명보다 186만 명 더 많은 846만 명이 이용했다. 여의도·석촌호수 등 곳곳에서 벚꽃 축제가 열렸다.
월별로는 행락철인 5월이 2억 1159만 4259명으로 가장 붐볐다. 반면 이용객이 가장 적었던 날은 설날인 2월 10일(토요일)로 평소의 35% 수준인 231만 명에 그쳤다.
노선별로는 2호선이 하루 평균 196만 4128명으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5호선(94만 4969명), 7호선(85만 2631명), 3호선(81만 2778명), 4호선(79만915명), 6호선(52만 2260명), 1호선(40만 5564명), 8호선(31만 2005명) 순이었다.
지하철 4·7호선이 만나는 노원역의 경우 승차 인원이 4호선 37%, 7호선 15% 늘면서 가장 크게 증가했다. 에스컬레이터 교체 공사가 지난해 8월 마무리되면서 이용 환경도 좋아졌다.
지난해 이들 지하철 이용객은 전년 대비 2.5% 늘어난 24억 1752만 명으로 하루 평균 660만 5250명이었다.
총 160만 499회 운행하며 4204만 917㎞를 달렸다. 지구 둘레(4만 75㎞)를 1049바퀴 돈 것이고 서울~부산(400㎞)을 5만 2551회 왕복한 거리에 이른다.
전년에 비해 열차 운행이 9096회 늘면서 수송 거리도 87만 3826.4㎞ 증가했다. 이는 4·5·7호선 혼잡도를 완화하기 위해 열차 운행을 늘리고 8호선 별내선이 연장됐기 때문이다.
백호 서울교통공사 사장은 “앞으로 변화하는 시민 라이프스타일에 맞춰 태그리스(자동통과) 시스템 도입, 열차 운행 시간 탄력 조정, 다기능 지하철 키오스크 설치 등 지하철 운용 패턴을 개선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