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K파트너스가 100% 대주주로 있는 홈플러스가 신용등급 하락과 기업회생 신청을 하기 직전인 지난 2월 한 달 동안에만 발행한 단기물 규모가 2천억 원에 육박하는 것으로 확인됐다.
강민국 의원실(경남 진주시을)이 한국예탁결제원 증권정보포터털(SEIBRO) 자료를 조사․분석한 결과, 홈플러스는 신용등급이 A3-로 하락한 2월에만 9일, 11회에 걸쳐 단기물을 발행했다. 발행액은 무려 1807억원에 달했다.
MBK파트너스 CI
종류별 단기물은 ABSTB(자산유동화 전자단기사채) 발행이 1517억 원(4회)으로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단기사채 160억 원(4회), 기업어음 130억 원(3회) 순이었다.
단기물 발행 시기와 규모는 2월 3일 50억 원(단기사채), 2월 4일 158억 원(단기사채 60억원/ABSTB 98억 원), 2월 7일 50억 원(기업어음), 2월 10일 356억 원(ABSTB), 2월 14일 30억 원(기업어음), 2월 17일 244억 원(ABSTB), 2월 18일 30억 원(단기사채), 2월 21일 70억 원(기업어음 50억 원/단기사채 20억 원), 2월 25일 820억 원(ABSTB)이었다.
특히 2월 25일은 홈플러스가 신용평가사 실무담당자로부터 신용등급이 한 등급 하락(A3→A3-)하게 될 것 같다는 예비평정 결과를 전달 받았던 날이다.
신용등급이 하락한 날 ABSTB를 무려 820억 원이나 발행했다.
또 홈플러스 신용등급 및 단기물 발행 추이를 보면, 지난 2022년 2월 24일 기존 A2-에서 A3+로 신용등급 하락 시 발행한 단기물 규모는 1185억 원이었으며, 2023년 2월 27일 A3+에서 A3로 하락 시에는 1078억 원, 이번 2025년 2월 27일 A3에서 A3-로 신용등급 하락에서는 1807억원으로 가장 많은 단기물이 발행됐다.
강 의원실이 파악한 금융투자업계 등의 자료에 따르면, 3월 3일 기준 홈플러스의 돌발 기업회생 신청하기 직전까지 홈플러스를 통해 발행된 단기물 판매 잔액 규모는 총 5949억원으로 이 중 리테일 판매분은 개인(676건) 2075억원이며, 법인(기술·전자·해운업 영위 중소기업 등 192건)은 3327억원에 달했다.
문제는 대주주인 MBK파트너스와 홈플러스가 A3-로 신용등급 하락을 공식 확인한 2월 27일 이후 단 5일 만인 3월 4일 법원에 회생절차 신청을 했다는 것이다.
하지만 2010~2024년 '신용등급 하향과 워크아웃 및 회생신청 기업'은 7개이며, 이 중 기업회생 신청 기간이 오래 걸린 기업은 LIG건설(약 3년 10개월)이었으며, 기간이 가장 짧았던 기업은 ㈜웅진으로 약 2개월이 걸렸다.
신용등급 하락에 따라 기업회생 절차를 신청하는데 최소 2개월이 걸렸다.
한편 가결산 자료를 통해 확인된 홈플러스의 부채액은 지난해인 2024년 11월 말 기준, 8조 4571억 원이며 부채비율은 1425%였다. 이 중 금융부채 규모는 6조 9603억 원으로 금융부채비율은 1173%에 달했다.
강민국 의원은 "최근 10여년간 워크아웃 및 기업회생을 신청한 기업 중 신용등급 하향에 따른 자금조달 경색을 이유로 제대로 된 자구책 제시조차 없이 선제적으로 회생신청한 사례가 단 한 건도 없었다"며 "MBK파트너스가 그만큼 모럴헤저드가 극에 달한 사모펀드사"라고 지적했다.
또 강 의원은 "신용평가 등급 하락했다고 자금조달 경색 이유로 단 5일 만에 기업회생 신청한 것은 말 그대로 어불성설일뿐 실제로는 최소 2월에 회생 절차 신청을 준비했고 이 과정에서 투자자 피해는 무시한 채 2천억 원에 달하는 단기물을 발행한 것이기에 사기로 밖에 볼 수 없다"고 밝혔다.
■추가 자료
<홈플러스의 단기물 일별 발행 추이/홈플러스 신용등급 및 단기물 발행 추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