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상민 전 행정안전부 장관이 자택에서 거액의 돈다발이 발견됐다는 의혹에 사실무근이라고 반박했다.

최근 정치권을 중심으로 이 전 장관의 자택 루이뷔통 가방에서 35억 원 돈다발이 발견됐다는 말이 나돌고 일부 언론매체에서도 보도됐다.

이 전 장관은 최근 "(계엄과 관련한 압수 수색 당시) 아내와 지방 체류 중이라 집에 없었다"며 "당시 변호사 2명이 입회했는데 그들로부터 '경찰이 현금 다발 발견한 일 자체가 없다'고 들었다"고 말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지난해 12월 5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12·3 비상계엄 관련 행정안전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해 답변하고 있다. 국회방송

이어 "현금다발이 발견됐다면 지난 2월 압수수색 이후 진행된 두 번의 경찰 수사에서 관련 질문을 했을 텐데 받은 적이 없다"고 했다.

이 전 장관은 "당시 집안 작은 금고에 현금을 보유하고 있었지만 경조사 등 품위 유지 비상금 수백만 원 수준이 있었던 것으로 기억한다"고 말했다.

내란 특검팀(특별검사 조은석)은 이 전 장관의 '현금다발 의혹'과 관련해 최근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경찰 특수단) 소속 수사관들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다.

이들은 지난 2월 이 전 장관이 소방청에 언론사 단전·단수를 지시했다는 의혹과 관련해 이 전 장관의 자택을 압수수색했었다.

이들 수사관은 "현금다발을 발견했지만 당시 단전·단수 의혹과 관련해 발부받은 영장 범위에는 포함되지 않아 압수하지 못했다"는 취지로 진술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 전 장관의 말이 맞다면 '현금다발' 말이 누군가에 의해 '35억 원 돈다발'로 액수까지 정해 소문을 낸 것이다.

한편 이 전 장관은 계엄 발표 직후 '삼청동 안가 회동'을 열어 비상계엄의 법적·절차적 정당성을 사후에 끼워 맞췄다는 의혹에도 "말이 안 된다"고 반박했다.

그는 "(안가 회동에서) 사후 포고문 얘기는 나오지도 않았다. 모여서 도시락 먹고 당시의 상황에 대해서 한 시간 남짓 있다가 헤어졌다"고 주장했다.

삼청동 안가에서 모임을 한 이유로 "일반 음식점에 가면 눈에 띄니까 김주현 전 민정수석 수석이 장소를 고민하다가 안가로 결정한 것"이라고 했다.

지난해 12월 4일 윤석열 전 대통령이 선포한 계엄이 해제된 당일 삼청동 안가에서 이 전 장관, 김주현 전 민정수석, 박성재 전 법무부 장관, 이완규 법제처장, 한정화 전 대통령실 법률비서관 등이 만나 계엄 이후 상황을 논의했다.

안가 회동 다음 날 강의구 전 대통령실 부속실장이 계엄 선포문을 새로 만들어 한덕수 전 국무총리 등에게 서명을 받았다.

김 전 수석이 "대통령의 국법상 행위는 문서로 해야 하는데 비상계엄 관련 문서가 있느냐"고 물은 직후 게엄 선포문을 만들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