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K텔레콤이 대규모 유심 해킹 사태 여파로 올해 2분기 영업이익이 전년보다 37%, 순이익은 76% 급감했다.

SK텔레콤은 올해 2분기 연결 기준 영업이익이 3383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37.1% 줄었다고 6일 밝혔다.

당기순이익은 832억 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무려 76.2% 폭락했다.

SK텔레콤 로고

다만 매출은 4조 3388억 원으로 1.9% 감소에 그쳤다.

직전 분기인 올해 1분기와 비교하면 영업이익과 순이익은 각각 40.4%, 77.0% 줄었다.

실적이 저조한 주요 원인은 4월 서버 해킹으로 인한 유심정보 유출 발표 이후 유심 무상교체와 대리점 손실보상 등 일회성 비용이 때문이다.

유심 교체는 6월 기준으로 약 900만 명이 마쳤다.

윤재웅 마케팅전략본부장은 이날 콘퍼런스콜에서 “사이버 침해 사고가 있었던 4월 19일부터 위약금 면제기간이 종료된 7월 14일까지 번호이동을 통해 약 105만 명이 이탈했고 33만 명이 유입됐다”고 밝혔다.

김양섭 최고재무책임자(CFO)는 “사이버 침해 사고와 관련한 재무적 임팩트는 2분기부터 반영되기 시작했고 하반기 더 큰 폭으로 나타날 것으로 예상된다”며 “재무적으로 임팩트가 가장 큰 ‘요금 50% 할인’이 3분기에 예정돼 있어 2분기 대비 매출 및 영업이익 하락은 불가피할 것으로 보인다”고 전망했다.

반면 인공지능(AI) 사업은 전년 동기보다 13.9% 성장해 2분기 실적을 견인했다.

AI 데이터센터(DC) 사업은 가동률 상승에 따라 전년 동기보다 13.3% 늘어난 1087억 원의 매출을 올렸다.

AIX(AI 전환) 사업은 B2B 솔루션 판매 확대에 힘입어 매출이 15.3% 증가한 468억 원을 기록했다.

AI 에이전트 서비스인 ‘에이닷’은 7월 말 기준으로 누적 가입자 1000만명을 돌파했다. 최근 출시한 ‘에이닷 노트’와 ‘브리핑’ 베타 서비스는 1개월 만에 누적 사용자 80만 명을 기록했다.

SK텔레콤은 이날 아마존웹서비스(AWS), SK그룹 멤버사들과 국내 최대 규모의 초거대 AI DC를 울산에 짓겠다고 밝혔다. 오는 2027년 가동을 목표로 제시했다.

또 총 300㎿(메가와트) 이상의 서울 구로 DC도 비슷한 시점에 가동된다.

SK텔레콤은 “DC 가동률 상승에 따라 2030년 이후 연 1조 원 이상의 매출이 기대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