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건설(옛 대림산업)의 대표와 임원, 현장소장, 팀장 등 80여 명이 11일 전격 사표를 제출했다.

이재명 대통령이 공사 현장 사망 사고와 관련, ‘면허취소’를 언급한 직후인 지난 8일 경기 의정부 아파트 공사 현장에서 근로자 추락 사망 사고가 발생하자 이 같은 결정을 했다.

DL건설은 11일 오후 입장문을 내고 “8일 발생한 사고에 대한 책임을 지고 강윤호 대표이사와 하정민 CSO(최고안전책임자)를 비롯한 임원진, 모든 현장소장과 본사 전 팀장이 자발적으로 사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사표 수리 범위는 확정되지 않았다.

DL건설 CI

추락사 사고 직후 DL건설과 모회사인 DL이앤씨는 DL건설의 44개 현장과 DL이앤씨 등 120개 넘는 현장 작업을 전면 중단하고 긴급 점검을 벌여왔다.

DL그룹은 “안전이 확실하게 확인되는 곳만 작업을 재개할 것”이라고 했다.

앞서 이 대통령은 지난달 29일 국무회의에서 포스코이앤씨의 잇따른 사망 사고를 두고 “미필적 고의에 의한 살인”이라고 질책했다.

이어 지난 4일 포스코이앤씨의 고속도로 공사 현장에서 외국인 근로자 심정지 사고가 발생하자 5일 정희민 포스코이앤씨 대표가 사퇴했다.

이 대통령은 6일 “면허 취소 등 가능한 방안을 모두 찾아서 보고하라”며 다시 초강경 발언을 내놨다.

이어 DL건설 사망 사고 이후인 9일 “모든 산재 사망 사고는 최대한 빠른 속도로 대통령에게 직보하라”며 사실상 ‘산재와의 전쟁’을 선포했다.

이에 정부와 여권은 건설 현장 인명 사고와 관련, 고강도 처벌 방안과 안전 대책을 준비 중이다. 인명 사고 시 대표이사 사임, 면허정지, 매출액의 일정 비율 과징금 징수 등이 거론된다.

국내 산업 현장 사망 사고의 절반은 건설업에서 발생하고 있다.

지난 2022년 중대재해처벌법 시행 이후 대형 건설사들이 안전 체계를 구축했지만 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이유로 고질적인 저가 입찰제와 하도급 관행, 근로자의 고령화와 높은 외국인 의존도 등 인력 구조가 거론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