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뉴욕 증시가 7일(현지 시각) 일제히 하락 마감했다.
올해 높은 수익률을 보였던 테슬라와 오라클 주가가 급락하는 등 기술주들이 약세를 보였다. 미국 정부 셧다운(일시 업무정지) 장기화 우려도 투자심리를 위축시켰다.
블루칩을 모아놓은 다우존스30 산업평균지수는 이날 전장보다 0.2% 내린 4만 6602.98을 기록했다. 또 대형주 벤치마크인 S&P500 지수는 0.38% 내린 6714.59를 기록했다.
기술주 중심의 나스닥지수는 하락폭을 더 키워 0.67% 내린 2만 2788.363에 거래를 마쳤다. S&P500은 7거래일 연속 상승 랠리를 멈췄다.
오라클은 IT 전문매체인 ‘디 인포메이션’에서 클라우드 사업의 수익성이 시장 예상보다 낮다는 보도를 하면서 2.5% 하락했다.
시장에선 그동안 오라클의 가치가 과대평가됐다는 우려가 지속됐는데 이 보도가 영향을 줬다.
시장 분석 전문가들은 “AI 시장이 거품 상태는 아니지만 투자 대비 실질적 수익성 기대치는 조정이 필요하다”고 분석하고 있다.
미 연방정부 셧다운도 7일째 이어지면서 장기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이에 투자자들은 위험자산에서 손을 떼고 안전자산으로 이동하는 양상이다.
상원은 이날 하원이 제출한 임시 예산안을 다섯 번째로 부결시켰다.
야당인 민주당 의원 최소 8명이 동참해야 예산안이 통과되지만 양당은 평행선을 긋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소셜미디어 ‘트루스 소셜(Truth Social)’을 통한 의견과 척 슈머 민주당 상원 원내대표의 말이 상반돼 이견이 여전한 상황이다.
엔비디아(-0.25%), 마이크로소프트(-0.87%), 애플(-0.08%), 알파벳(-1.74%), 메타(-0.36%) 등이 약세를 보였다. 아마존만 0.4% 소폭 올랐다.
테슬라는 전기차 세액공제 축소에 대응하기 위해 이날 가성비 모델 3와 Y를 출시했지만, 주가는 4.45% 급락했다.
업계는 이 가격이 여전히 대중차 수준인 2만 달러대 후반~3만 달러대에 미치지 못해 4분기부터 매출 감소를 예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