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 미국이 29일 양국의 관세 후속 협상에서 세부 내용을 합의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경주 APEC 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미 정상회담의 최대 쟁점이었던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 내용과 관련해 “현금 투자는 2000억 달러, 조선업 협력 1500억 달러로 구성된다”고 밝혔다.

그는 “2000억 달러 투자는 한 번에 이뤄지는 게 아니라 연간 200억 달러 한도 내에서 사업 진척 정도에 따라 달러로 투자한다”며 “이에 우리 외환시장의 감내 가능한 범위에 있으며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다”고 했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이 29일 경북 경주 APEC 미디어센터에서 브리핑을 열고 한미 정상회담의 최대 쟁점이었던 3500억 달러의 대미 투자 내용과 관련해 “현금 투자는 2000억 달러, 조선업 협력 1500억 달러로 구성된다”고 밝혔다. 채널A

대미 투자 펀드의 연 상한액으로 설정한 200억 달러 조달과 관련해서는 “기본적으로 우리 외화 자산의 운용 수익을 활용할 생각”이라고 밝혔다.

‘마스가 프로젝트’로 명명된 조선업 협력 1500억 달러는 한국 기업의 주도로 추진하고, 투자 외에 보증도 포함하는 것으로 합의됐다.

지난 7월 미국에서 열린 한미 상호관세 협상 테이블. 기획재정부

이날 합의에 따라 미국이 한국에 부과하는 자동차 관세는 25%에서 15%로 인하된다. 상호 관세는 지난 7월 말 합의 이후 이미 15%가 적용되고 있다.

또 품목 관세 중 의약품·목재 등은 최혜국 대우를 받고, 항공기 부품·제네릭(복제약) 의약품·미국 내에서 생산되지 않는 천연자원 등에는 무관세를 적용받기로 했다.

반도체의 경우 우리의 경쟁국인 대만과 비교해 불리하지 않은 수준의 관세를 적용받기로 했으며, 쌀·쇠고기를 포함한 농업 분야 추가 개방은 막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