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2.4%를 기록하며 올해 들어 가장 높은 상승률을 보였다. 지난해 7월(2.6%)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은 상승률이다.
외식·교통 등 개인서비스 가격 상승세가 이어지고, 국제유가 상승 영향으로 석유류 가격도 올라 물가 압력은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이다.
서울의 한 대형마트 과일 진열대. 정기홍 기자
 
국가데이터처(옛 통계청)는 4일 ‘2025년 10월 소비자물가동향’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지수(CPI)는 전년 동월 대비 2.4% 상승했다. 이는 9월(2.1%)보다 0.3%포인트 오른 수치이고 지난해 7월 이후 1년 3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5월(1.9%)과 8월(1.7%)을 제외하고 2% 초반을 기록했다.
품목별로는 농축수산물 가격 상승률이 3.1%로 높았다.
농산물이 1.1% 증가했고 채소류 가격은 14.1% 감소했다.
배추가 전년에 비해 34.5% 급감했고 무와 당근 가격이 각각 40.5%, 45.2% 크게 내렸다.
반면 축산물과 수산물은 각각 5.3%, 5.9% 오르며 전체 물가 상승세를 견인했다.
쌀(21.3%)과 돼지고기(6.1%), 국산쇠고기(4.6%) 등이 크게 올랐고, 특히 찹쌀의 경우 45.5% 올랐다.
공업제품은 전년 동기 대비 2.3% 상승했다.
국가데이터처는 "국제유가 상승과 함께 석유류 기저효과로 인해 공업제품 가격이 상승했다"고 분헉했다.
특히 석유류 가격은 4.8% 급등해 지난 2월(6.3%) 이후 8개월 만에 최대 상승을 기록했다.
외식 서비스 가격도 전년보다 3.0%, 외식 제외 서비스 가격도 3.6% 올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