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성동구 성수동 옛 삼표레미콘 부지에 79층 규모의 업무·주거·상업 등 복합시설이 들어선다.

서울시는 제19차 도시건축공동위원회를 열고 ‘서울숲 일대 지구단위계획구역, 지구단위계획 및 삼표레미콘 특별계획구역 세부개발계획 결정안’을 수정 가결했다고 27일 밝혔다.

서울 성동구 옛 삼표레미콘 부지에 들어설 79층 빌딩 조감도. 서울시

이 부지는 지난 1977년부터 45년간 삼표레미콘 성수 공장으로 운영됐다. 2017년 서울시, 성동구, 삼표산업이 당시 부지 소유주였던 현대제철과 업무 협약을 하고 기존 공장 시설을 철거하기로 했다. 2022년 모두 철거됐다.

서울시는 삼표레미콘 부지의 도시계획을 변경하기 위해 SP성수PFV 등 민간 사업자와 사전협상을 하고 복합개발 세부 지침과 공공 기여 등 주요 내용을 결정했다.

이 개발사업은 지난해 ‘건축혁신형 사전협상’ 대상지로 선정됐다.

이에 따라 이곳에는 최고 79층 규모의 업무, 주거, 상업 기능이 복합된 시설이 조성된다. 업무 시설이 35% 이상 확보돼야 한다.

이 말고도 판매, 문화 등 상업 기능과 직주 근접을 위한 주거시설도 40% 이하 범위에서 도입한다.

개발 이익에 따른 공공 기여는 6054억 원이다.

개발 사업자는 공공 기여 사업으로 개발 인근 서울숲 일대 상습 교통 정체 완화 기반 시설을 만든다.

이곳엔 스타트업을 지원하는 서울시 ‘유니콘 창업허브’도 들어선다.

서울시와 성동구는 각각 1140억 원, 488억 원의 공공시설 설치비(현금)를 부담한다.

서울시는 삼표레미콘 부지와 서울숲을 잇는 입체 보행 공원을 조성해 서울숲과 연계된 녹지공간을 확충한다.

입체 보행데크 건폐율은 90%까지, 용적률은 104%포인트까지 완화하는 등 ‘건축혁신형 사전협상’ 대상지 선정에 따른 인센티브도 받았다.

이곳에 만들어지는 공유 공간도 개방된다.

서울시는 서울숲 일대 지구단위계획 관련 재열람 공고를 내고 내년 1월 중 결정 고시할 예정이다.

착공은 건축심의와 인허가 절차를 거쳐 내년 말로 잡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