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해운대 1·2와 경기 용인 수지, 수원 영통, 안산 반월 등 전국 9개 노후계획도시가 1기 신도시(분당·일산·중동·산본·평촌)에 이어 재건축을 추진할 수 있게 됐다.

국토교통부는 지난 29일 부산 해운대 1·2, 경기 용인 수지, 수원 영통, 안산 반월 등 전국 9개 노후계획도시를 1기 신도시(분당·일산·중동·산본·평촌)에 이어 국가 지원 재건축을 추진한다고 밝혔다. 노후계획도시 개발 대상지는 1985~2002년 준공된 지역이다.

국토부는 30일 이와 관련해 노후계획도시가 있는 전국 23개 지자체와 제2차 협의회를 갖고 기본계획 수립 추진 현황 등을 점검했다.

국토교통부가 29일 발표한 부산, 수원, 안산, 용인의 9개 노후계획도시 정비기본계획도. 국토부

노후계획도시 9곳은 기본계획 수립에 착수, 2025년 8월~2026년 확정할 예정이다.

9개 지구는 ▲부산 해운대 1·2지구 ▲부산 화명·금곡지구 ▲부산 만덕·만덕2지구 ▲부산 다대 1~5지구 ▲모라·모라2지구 ▲수원 영통지구 ▲용인 수지·수지2지구 ▲용인 기흥구갈·구갈2지구 ▲안산 반월 산단 배후지다.

이들 도시는 1985~2002년에 준공됐다.

부산은 5개 노후계획도시에서 총 9만 9000가구가 대상이다. 단일 지구로 가장 가구 수가 많은 곳은 안산 반월지구로 9만 5000가구다.

국토부는 9개 지구 이후 인천 연수지구, 대전 둔산지구 등 다른 노후계획도시 10곳도 내년 상반기까지 기본계획 수립 용역 등을 착수할 예정이다.

경기 안양시도 30일 평촌의 노후계획도시정비 기본계획안을 공개하고 주민공람을 시작했다. 평촌 신도시의 용적률은 현재 204%에서 330%로 126%포인트(p) 상향 조정됐다.

이에 따라 5만 1000가구에서 6만 9000가구로 약 1만 8000가구가 추가 공급될 전망이다.

앞서 경기 부천 중동신도시 용적률이 평균 216%에서 350%로, 군포 산본신도시는 270%에서 330%로 상향 조정된 바 있다.

국토부에 따르면 9개 노후계획도시 이후에도 인천 연수지구, 대전 둔산지구 등 다른 노후계획도시 10곳이 내년 상반기까지 기본계획 수립 용역 등에 착수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