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21일)은 소만(小滿)입니다. 24절기 중 8번째로 입하(立夏)와 망종(芒種) 사이에 있습니다.
찰 만(滿)자를 쓴 데서 알 수 있듯 만물이 푸르름으로 가득해졌습니다. 작을 소(小)를 붙여 여름의 시작임을 알립니다.
경남 진주시 명석면농민회 회원들이 이앙기가 심지 못한 논 귀퉁이에 손모를 내고 있다. 뒤엔 이앙기가 모를 심고 있다. 진주시
산과 들에서 피던 봄꽃이 지고 작은 열매를 맺는 때이고, 보리 이삭은 노랗게 바뀌기 시작합니다.
소만 무렵엔 한창 모를 내는 시기로 둘녘엔 모심는 이앙가 소리가 가득하지요. 부엉이 울음소리가 자주 들립니다.
장미도 흐드러지게 피는 시절입니다.
중국에서는 소만 입기일(入氣日)에서 망종까지의 시기를 다시 5일씩 삼후(三候)로 나누어 초후(初候)에는 씀바귀가 뻗어오르고, 중후(中候)에는 냉이가 누렇게 죽어가며, 말후(末候)에는 보리가 익는다고 했습니다.
조선 헌종 때 정학유(丁學游)가 지은 가사집인 농가월령가(農家月令歌)에서는 '4월이라 맹하(孟夏·초여름)되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라고 했습니다. 여기에서의 4월은 음력을 의미합니다. 절기는 양력을 기준으로 하니 5월이지요.
"사월이라 한여름이니 입하 소만 절기로다/ 비 온 끝에 볕이 나니 날씨도 좋구나/ 떡갈잎 퍼질 때에 뻐꾹새 자주 울고 / 보리 이삭 패어 나니 꾀꼬리 소리 한다/ 농사도 한창이요 누에치기 바쁘구나/ 남녀노소 일이 바빠 집에 있을 틈이 없어/ 적막한 대사립을 녹음에 닫았도다"
예전엔 이 때가 '보릿고개'였습니다. 광에 있던 쌀은 떨어지고, 보리 수확은 조금 더 기다려야 하는 힘겨운 시기였지요.
이른바 초근목피(草根木皮)의 시절로 잎과 줄기, 뿌리로 허기를 채웠습니다. 송기(松肌)라고 해서 새 솔가지를 꺾어 액즙을 빨아먹기도 했습니다.
연한 죽순을 캐다가 삶아 고추장 등 양념에 무쳐먹는 것도. 이때입니다. 또 '가죽자반'이라고 해서 가죽잎을 따 고추장을 무쳐 말린 뒤 주전부리로 먹었지요. 가죽부각이라고도 합니다.
속담 '소만 바람에 설늙은이 얼어 죽는다', '소만 추위에 소 대가리 터진다'는 소만 절기 바람이 몹시 쌀쌀하다는데서 나온 속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