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는 올 2분기 연결기준 영업이익이 1조 148억 원으로 전년 동기 대비 105.4% 증가했다고 11일 공시했다.

매출액은 같은 기간 3.5% 늘어난 7조 4274억 원이다.

KT CI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보다 두 배 이상 증가하며 1조 원을 돌파, 상장 이래 최대치를 기록했다.

분기 영업이익이 1조 원을 넘어선 것은 상장 이래 처음이다. 이전 최대치는 6266억 원(2022년 1분기)이었다.

관계사를 뺀 별도기준 영업이익도 전년 동기 대비 30.6% 늘어난 4687억 원을 기록했다.

KT는 통신과 인공지능 전환(AX) 등 핵심 사업의 성장과 서울 강북본부 부지 개발에 따른 일회성 부동산 분양 이익이 영향을 줬다고 분석했다.

매출은 연결기준 7조 4274억 원(13.5% 증가), 별도기준 4조 7728억 원(4.9%)이었다.

무선 사업은 5G 가입자 기반 확대와 번호이동 가입자 순증에 힘입어 서비스 매출이 전년 동기보다 1.6% 증가했다. 유선 사업 매출도 1.4% 늘었다.

미디어 사업 매출은 VOD 매출 감소에도 IPTV 가입자 순증 확대와 프리미엄 요금제 이용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0.8% 성장했다.

기업서비스 매출은 통신과 AI·IT 사업 성장으로 전년 동기 대비 4.5% 증가했다. 특히 AI·IT 분야는 클라우드 사업 호조로 전년 대비 13.8% 성장해 실적 을 견인했다.

그룹사들의 매출도 전반적으로 올랐다.

KT클라우드의 매출은 데이터센터와 클라우드 사업의 호조로 전년 동기 대비 23.0% 증가했다. KT에스테이트 매출도 2.0% 상승했다.

금융 부문에서는 BC카드가 국내 결제 매입액 감소에도 수익성 강화 전략으로 전년 동기 수준의 영업이익을 유지했다.

케이뱅크는 수신 잔액이 전년 동기보다 22.5% 증가한 26조 8천억 원, 여신 잔액은 10.8% 증가한 17조 4천억 원을 기록했다.

한편 KT는 3분기부터 독자 개발한 LLM '믿:음 2.0'과 글로벌 파트너십을 기반으로 AX 사업을 본격화하기로 했다.

또 국내 최초로 AI 기반 데이터 분석 소프트웨어 업체인 팔란티어의 프리미엄 파트너사로 선정돼 자사의 클라우드·네트워크 인프라와 팔란티어의 핵심 솔루션을 결합한 서비스를 제공할 계획이다.

보안 분야에도 향후 5년간 1조원 이상을 투자해 체계를 구축하고 전담 인력을 확충할 예정이다.

올해 2분기 배당은 전년 동기 대비 20% 인상된 주당 600원으로 확정됐다. 오는 14일 지급된다.

2500억 원 규모의 자사주 매입은 13일 끝난다.

KT CFO 장민 전무는 "통신 본업의 견조한 성장과 그룹 핵심 포트폴리오의 성과가 더해져, 큰 폭의 실적 개선을 이뤄낼 수 있었다"며 "앞으로도 AICT 기업으로의 전환을 가속해 지속 가능한 성장을 이루고, 기업가치 제고 계획도 차질 없이 이행해 KT의 가치를 한 단계 더 끌어올리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