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28일 올해 경제성장률을 0.9%로 전망했다. 지난 2월 전망치(1.5%)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5월(0.8%)보다 0.1%포인트(p) 올렸다.
기준금리는 7월에 이어 8월에도 동결했다.
한은 금융통화위원회는 이날 기준금리를 현재 수준인 연 2.5%로 동결하기로 했다.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28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통화정책방향 결정에 관해 설명하고 있다. 한국은행
한은은 2023년 2월부터 지난해 8월까지 1년 7개월간 기준금리를 연 3.5%로 유지하다가 지난해 10·11월, 지난 2·5월 0.25%p씩 4차례 내렸다.
경제성장률 전망이 올해 초 전망치를 밑돌지만 경기 부양보다는 집값 안정을 택한 것으로 분석됐다. 한은은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을 안정 수준인 2%로 전망했다.
한은은 이날 통화정책방향 의결문에서 “건설 투자 부진 지속에도 소비가 회복되고 수출도 반도체를 중심으로 예상보다 늘어나면서 성장 흐름이 개선됐다”며 “수도권 주택 가격 및 가계부채 추이를 좀 더 살펴볼 필요가 있는 만큼 현재의 기준금리 수준을 유지하면서 대내외 여건 변화를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밝혔다.
소비 심리가 개선되는 점도 금리 동결 배경이다.
8월 소비자심리지수(CCSI)는 111.4를 기록하며 지난 2018년 1월(111.6) 이후 7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았다. 소비자심리지수가 100을 웃돌면 낙관적이라는 뜻이다.
최근 극한폭우와 폭염에 농축수산물 가격이 뛰긴 했지만 소비자물가 상승률도 한국은행 목표치인 2%대를 유지하고 있다.
한편 주택담보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제한하는 ‘6·27 가계부채 대책’ 이후 가계대출 증가세가 주춤해졌지만 서울 일부 지역의 집값 상승세가 여전해 금리 인하를 멈칫하게 하고 있다.
다만 한·미 금리 차(2%p)가 커 부담이다.
따라서 시장 전문가들은 연내 한은이 추가로 금리를 내릴 가능성을 점치고 있다.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연준)의 9월 금리 인하가 확실시되는 만큼 미국 금리 인하를 확인한 뒤 인하할 것으로 보인다.
미국 현지 시장에선 연준이 9월에 금리를 내릴 확률을 88%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