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준석 개혁신당 대표가 20·30세대 남성이 극우라는 조국혁신당 조국 혁신정책연구원장의 주장에 "그가 너무 ‘왼쪽’에 앉아 있어서 생기는 일종의 망상이라고 일침을 가했다.
이 대표는 2일 자신의 SNS에 올린 글에서 “조국 전 대표 본인이 너무 왼쪽에 앉아 있어서 그들이 오른쪽에 멀리 앉아 있는 것처럼 느끼는 망상일 뿐”이라며 이같이 비판했다.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이 지난해 6월 경남 양산에 있는 문재인 전 대통령(왼쪽)을 찾아 사진을 함께 찍고 있다. 페이스북
이어 “극우는 사전적 정의가 명확한 것도 아니다”라며 “오른쪽 유튜브에 절여진 사람들에게는 이준석이 좌파 프락치라고 한다”고 덧붙였다.
그는 “학교에서 몇 개월간의 단기 연수로 배워온 정치 방법론 치고는 너무 저열하고 수준이 낮지 않나”라고도 했다.
앞서 조 연구원장은 지난달 MBC 라디오 ‘권순표의 뉴스하이킥’에서 “20대와 30대 남성이 70대와 비슷한 성향을 보인다”며 “단순 보수 성향이면 문제가 다를 수 있는데, 이른바 극우 성향”이라고 주장했다.
조 연구원장의 이 말은 당시 한국갤럽 여론조사에서 자신의 사면 지지 의견이 낮게 나타난 데 대한 반응이었다.
이 조사에서 조 연구원장 사면과 관련해 40~50대에서는 찬성 의견이 많았지만, 18~29세(50%)와 30대(62%)에서는 반대 의견이 더 많았다. 70대 이상의 반대 비율은 56%였다.
이를 두고 조 연구원장은 라디오에서 “자신의 미래가 불안하고 아무리 노력해도 좋은 직장과 일자리 등이 불안할 때 청년들이 극우화하는 전 세계적 현상이 나타난 것 같다”고 주장했다.
이어 “보수 정당 목소리가 사실상 사라지고 극우 정당이 보수를 대체한 상태에서 20·30의 길을 극우 정당인 국민의힘이 포획하고 있다”고도 했다.
그는 이후에도 20대 남성 3명 중 1명은 ‘극우’라는 등의 기사를 SNS에서 공유했다.
이에 이 대표는 이 SNS에서 “표창장 위조와 대리 시험, 인턴 증명서 날조는 사실”이라며 “그 사실을 비판하는 젊은 세대에게 아무리 느낌적 느낌으로 극우몰이를 해봐야 아무것도 될 수가 없다”고 꼬집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