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유의 화재가 발생한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뿐 아니라 지방자치단체와 공공기관의 자체 데이터 관리 시스템도 이중화 등 백업 상태가 미비한 것으로 파악됐다.
8일 행정안전부와 지자체 등에 따르면, 17개 광역단체 중 16곳은 예산 문제 등으로 전면적인 시스템 이중화 구축이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차선책으로 데이터 백업 시스템을 강화하고 있다.
서울시는 “자체 운영 중인 전산망 시스템은 약 410개로, 이중화가 완료돼 재난복구시스템(DR)까지 마련된 것은 16개”라며 “나머지 대다수 시스템은 서초구, 마포구에 있는 데이터센터에 백업해 정보를 보관 중”이라고 했다.
이어 “데이터센터 배터리를 화재 위험성이 낮은 납축전지로 교체했다”고 덧붙였다.
지자체 중에선 대구시는 지난 2015년부터 139억 원을 투입해 시스템 이중화를 구축한 상태다.
대구시 수성구에 있는 통합전산센터 ‘D-클라우드’는 대구시 홈페이지 등 128개 시스템을 서비스하고 있다.
만약 화재로 이 센터가 마비되면 달성군의 재해복구센터를 통해 중단 없이 행정 서비스가 제공된다.
대구시 관계자는 “재해 재난이 발생해도 4시간 이내 시스템이 재가동된다”고 말했다.
한편 행안부에 따르면 2023년 12월부터 올 8월까지 중앙부처와 지자체, 공공기관 등을 포함한 1·2등급 시스템에서 크고 작은 장애가 451건 발생했다.
지난 1일 국회 현안 질의에선 지방세·주소 정보 등 지자체와 관련된 36개 행정 시스템을 통합 관리하는 한국지역정보개발원(KLID)의 백업 체계가 부실하다는 지적이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