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럽연합(EU)이 무관세로 수입해 온 물량인 ‘쿼터’도 절반 수준으로 줄이고, 철강 관세를 50% 수준으로 올리기로 했다.
미국에 이어 유럽에서도 한국산 철강의 설 자리가 크게 줄어들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 EU는 경제 권역별 기준으로 미국에 이어 국내 철강 수출의 2위 시장이다.
경북 포항항 영일만항 모습. 포항항은 철강 업계의 수출 위기로 항만 물량 확보에 고심 중이다. 포항시
EU 집행위원회는 지난 7일(현지 시각) 유럽 철강업계 보호 대책 초안을 이같이 발표했다.
초안에 따르면 새 철강 쿼터는 작년 한 해 적용돼 온 물량보다 47% 줄어든 1830만t이다. 쿼터 초과 물량에 적용되는 관세는 25%에서 50%로 올린다.
국가별 수입 쿼터는 구체적으로 발표하지 않았다. EU가 무역 상대국과 개별 협상을 거쳐 정할 것으로 보인다.
이 조치는 EU가 취해 온 철강 세이프가드 조치가 끝나는 내년 6월 말부터 회원국 투표를 거쳐 적용될 예정이다.
EU는 현재 26개 철강 품목에 대해 수입 쿼터를 정하고, 이를 넘는 물량에 25% 관세를 매기고 있다. 이 조치는 WTO(세계무역기구) 규정에 따라 내년 6월 끝난다.
초안이 그대로 시행된다면 한국 철강 업계가 입을 타격도 상당할 것으로 우려된다.
산업통상부는 이날 “철강 쿼터가 기존 세이프가드 조치보다 47% 줄면서 국내 철강 수출의 (경제 권역 기준) 2위 시장인 EU의 철강 수출에 상당한 영향이 예상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