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권에 대규모 사외이사 재편이 예고되고 있다. 사외이사는 지배구조 투명을 강화한다는 차원에서 도입 운영되고 있다.
KB·우리·하나금융그룹은 3월 말 임기가 끝나는 사외이사 절반 이상을 교체했다. 신한금융그룹은 사외이사 3자리를 줄이는 결정을 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금융권 ‘돈 잔치’ 지적에 영향을 받은 것으로 보인다.
5일 금융권에 따르면 이달 말까지 KB·신한·우리·하나·NH 등 5대 금융지주의 사외이사 38명 가운데 30명(약 79%)의 임기가 끝난다. KB금융 7명 중 6명, 신한금융 11명 중 10명, 하나금융 8명 중 8명, 우리금융 7명 중 4명, NH금융 5명 중 2명이다.
금융권에서는 통상 사외이사의 임기가 끝나도 상법상 최장 6년(KB금융은 5년)까지는 대부분 재선임해왔다. 그런데 최근 윤 대통령의 예대마진 '돈잔치' 언급 이후 금융당국이 이사회의 책임 강조 등을 내용으로 하는 사외이사제 개편에 나서 대폭 교체가 현실화됐다.
특히 최고경영자(CEO)가 용퇴를 결정한 신한금융과 우리금융의 사외이사 교체 가능성이 더 커졌다.
신한금융은 이달에 임기를 끝내는 사외이사 교체를 계기로 사외이사 규모를 줄이기로 결정했다. 11명의 사외이사 중 10명의 임기가 이달 끝나며 9명으로 자리를 줄인다.
우리금융은 임종룡 회장 내정자가 지배구조 개편 의지를 밝힌 상태에서 사외이사 후보 2명을 새로 추천했다.
우리금융 이사회는 지분 4% 이상씩 투자한 과점주주를 대표하는 사외이사 7명으로 구성돼 있다. 4명이 교체 대상이다. 우리금융 임원후보추천위원회는 “금융권의 쇄신 분위기에 발맞춰 2명의 신규 사외이사 후보를 추천했다”고 설명했다.
KB금융은 사외이사 7명 중 임기가 끝난 6명 중 3명을 3월 정기 주주총회에 새로 추천했다.
반면 하나금융과 NH금융은 변동폭이 작을 전망이다.
하나금융은 이달에 8명 사외이사 전부 임기가 끝나지만 6년 이상 재직한 사외이사가 없다. 연임이 가능하다. NH금융의 경우 사외이사 7명 중 2명의 임기가 다음 달 만료된다. 지난해 말 새로운 회장을 맞이해 사외이사진 변화가 있을 전망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수장이 바뀌면 사외이사 구성에도 변동이 있기 마련이지만 최근 금융당국에서 사외이사의 감시와 견제 역할을 강조하고 있어 부담을 느낄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