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외국산 자동차 부품에 부과하기로 한 25% 관세가 3일(현지 시각) 공식 발효돼 한국의 차 부품업계가 타격을 받게 됐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3월 26일 발표한 관련 포고문에서 이를 적시했었다.

수입 자동차 부품에 대한 25%의 관세는 미 동부 시각으로 이날 오전 0시1분(한국 시각 3일 오후 1시 1분)을 기해 부과되기 시작했다.

이에 앞서 외국산 자동차 25% 관세는 지난달 3일 오전 0시1분부터 시행 중이다.

울산공장 수출 선적부두 및 공장 전경. 현대자동차

다만 트럼프 대통령은 4월 29일 수정 포고문에서 미국에 완성차 생산 시설을 가진 자동차 제조 업체에는 2년간 자동차 부품 관세를 일부 완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르면 올해 4월 3일부터 내년 4월 30일까지 미국에서 조립한 자동차 가격의 15%에 해당하는 부품에는 관세를 1년간 면제하고, 내년 5월 1일부터 2027년 4월 30일까지는 10%에 해당하는 부품에 관세를 면제한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자동차와 부품, 캐나다·멕시코에 부과한 관세, 알루미늄 관세, 철강 관세는 서로 중첩되지 않고, 특정 제품이 2개 이상의 관세에 해당되면 자동차와 부품 관세를 우선 적용하는 별도 행정명령에 서명했었다.

자동차 부품 관세가 당초 방침보다 완화됐지만 대미 수출 비중이 높은 한국 부품업계의 타격이 불가피할 것으로 예상된다.

높아진 관세로 완성차의 최종 소비 가격이 오를 것으로 예상돼 외국산 부품 수요 위축도 예상된다.

한국무역협회에 따르면 한국의 자동차 부품 대미 수출 비중은 2020년 29.5%에서 지난해 36.5%로 증가했다. 2024년 기준으로 미국의 자동차 부품 수입 가운데 한국산 비중은 6.4%로 135억 달러(약 19조 원)에 달한다.

세부적으로 ▲배터리·모터 등 전동화 부품(30억 달러) ▲새시 및 구동축 부품(30억 달러) ▲자동차용 전자·전기 부품(25억 달러) ▲차체 및 부품(23억 달러) ▲엔진 및 부품(13억 달러) ▲자동차용 타이어 및 튜브(8억 달러) 등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