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3일 치러진 2026학년도 수능 국어 영역에 오류 문항이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19일 교육계에 따르면 이충형 포스텍 인문사회학부 교수는 한 수험생 커뮤니티 게시판에 ‘국어 17번 문제 제기’라는 제목의 글을 올려 “수능 국어 시험에 칸트 관련 문제가 나왔다고 하기에 풀어 보았는데 17번 문항에 답이 없어 보였다”고 주장했다.

이상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번 수능 국어 영역에서 17번 문제는 고난도 문항으로 꼽혔다.

독일 철학자 임마누엘 칸트의 인격 동일성에 관한 견해를 담은 지문을 읽고 푸는 문제였다.

두뇌에서 일어나는 의식을 스캔해 프로그램으로 재현한 경우, 본래의 자신과 재현된 의식은 동일한 인격이 아니라는 ‘갑’의 주장을 제시한 뒤 이를 이해한 반응으로 가장 적절한 것을 찾으라는 문제였다.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정답으로 제시한 3번은 ‘칸트 이전까지 유력했던 견해에 의하면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지 않겠군’이다.

하지만 이 교수는 3번이 정답이 될 수 없다고 주장했다.

지문엔 ‘칸트 이전까지 인격의 동일성을 설명하는 유력한 견해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 단일한 주관으로서 시간의 흐름 속에 지속한다는 것이었다’는 문장이 나온다.

이 교수는 스캔 프로그램으로 의식이 재현되면 ‘단일한 주관’이라는 조건을 충족하지 않아 ‘생각하는 나의 지속만으로는 인격의 동일성을 보장하지 않는다’는 갑의 입장은 옳다고 봤다.

또 이 교수는 “개체 a와 b 그리고 속성 C에 대해 ‘a=b이고 a가 C면, b도 C다’를 통해 풀 수 있는 문제라 생각할 수 있지만, 잘못된 풀이”라고 했다.

그는 “갑은 ‘생각하는 나’에 대해서 말하고 있지 영혼에 대해서는 말하고 있지 않아서, ‘생각하는 나’와 영혼의 연결 고리가 필요하다”며 “지문에 등장하는 이 둘의 유일한 연결 고리는 ‘생각하는 나인 영혼’이라는 표현인데, 이는 지문과 보기 어디에도 나오지 않는다”고 했다. 논증을 간단하게 적용할 수 있는 게 아니라고 했다.

한편 이번 수능 이의 신청은 지난 17일까지 받았다.

이 교수가 이의를 제기한 해당 문항에 대한 이의 신청은 10여 건 접수된 것으로 알려졌다.

평가원은 25일 최종 정답을 확정해 발표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