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파트 ‘국민평형’ 기준이 84㎡에서 59㎡로 바뀌고 있다. 민간 아파트 분양시장에서 전용면적 59㎡의 청약 경쟁률이 4년째 84㎡를 앞질렀다.

1~3인 소규모 가구가 늘고 분양가도 치솟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11일 분양평가 업체 리얼하우스에 따르면, 올해(8월 25일 모집공고 기준) 전국 민간 아파트 분양에서 전용 59㎡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은 19.2대 1이었다. 84㎡의 경쟁률(5.5대 1)을 3배 웃도는 수치다.

같은 기간 수도권에서는 59㎡의 1순위 평균 경쟁률이 84㎡보다 6배가량 높았다.

서울의 소형 아파트 단지 전경. 정기홍 기자

소형 평수 선호 현상은 지난 2022년부터 나타났다.

그해 59㎡의 전국 1순위 평균 경쟁률이 9.0대 1을 보여 84㎡(5.9대 1)를 처음 앞질렀고 해마다 격차가 커졌다. 두 평형 경쟁률 격차는 올해 전국과 수도권 기준 각각 3.5배, 5.9배까지 벌어졌다.

부동산 시장에서는 오랫동안 84㎡가 국민평형으로 인식됐다. 4인 가구 기준으로 가장 인기 있는 면적이었기 때문이다.

리얼하우스의 청약홈 분석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의 ㎡당 분양가는 2007만 원으로 84㎡의 평균 분양가는 16억 9934만 원에 이른다.

강남 3구(강남·서초·송파구) 등 인기 지역에서는 20억 원대를 넘는다.

인구 구조의 변화도 국민평형 변화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4인 가구 중심에서 1~3인 가구 중심으로 바뀌며 소형 평수 수요가 늘었다.

소형 평형 공급 감소도 영향을 주고 있다.

수도권의 59㎡ 공급량은 2020년 7월까지 8934가구였지만, 지난 7월에는 3319가구로 40%가량 줄었다.

건설 업체들이 59㎡에도 드레스룸이나 팬트리 등 특화 공간을 적용하며 상품성을 높인 것도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