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22일 지방자치 30주년을 맞아 정부의 재정 정책을 비판하며 "서울시는 결코 미래세대에 짐을 떠넘기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은 '민생 회복 소비쿠폰' 2차 지급 신청이 시작된 날이다
서울시와 구청장협의회는 이날 서울시청 대회의실에서 소비쿠폰 등 정책 비용에 대한 정부의 일방적인 지자체 전가와 서울시에 대한 차등적 국비 보조 관행 개선을 촉구하는 '서울시·자치구 지방재정 공동선언'을 발표했다.
이 자리에는 오 시장과 서강석 회장 등 서울시 자치구 구청장들이 참석했다.
22일 오전 오세훈 서울시장과 자치구청장들이 '서울시·자치구 지방재정 공동선언식'에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서울시
공동선언문에는 저출생·고령화와 도시기반시설 노후화로 인해 재정 지출이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가운데 국비 차등 보조가 재정 부담을 더욱 가중시키는 현 상황을 바로잡아 지방재정 자율성과 건전성을 강화하겠다는 내용이 담겼다.
이들은 "소비쿠폰 지급 과정에서 정부가 지자체에 충분한 협의 없이 비용을 통보했다"며 "국고보조율은 전국 17개 시·도 중 서울만 75%로 적용됐고 나머지 시·도는 90%가 적용돼 서울시와 자치구의 부담이 약 5800억 원에 달했다"고 밝혔다.
이어 "중앙정부가 지방과의 충분한 협의 없이 정책 비용을 전가하는 관행은 지역 맞춤형 정책 운영·책임 있는 재정 운용을 저해하는 중요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또 "사회적 수요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서는 중앙과 지방 간의 합리적 역할 분담과 재정 예측 가능성이 필수적"이라고 밝혔다.
동일한 사업에 대해 서울만 국비 보조율을 낮게 적용하는 차등 보조는 형평성과 효율성 모두를 저하시킨다고 언급하며 개선 필요성을 분명히 했다.
아울러 시민과 함께 성장해 온 지방자치의 새로운 도약을 다짐하고, 서울시와 자치구는 모든 세대가 함께 누릴 수 있는 지속가능하고 책임 있는 재정 운영을 약속했다.
서강석 서울시 자치구 구청장협의회장은 "지방재정은 정부와 달리 적자 재정이 원칙적으로 불가해 주민의 편의와 복리 증진에 필요한 사업을 축소할 수밖에 없는 악순환이 지속되고 있다"며 "지자체 자치재정권 확대는 더 이상 미룰 수 없는 시대적 과제"라고 말했다.
한편 공동선언 이후 서울시와 서울연구원이 공동주최한 '민선지방자치 30주년 기념 지방재정 포럼'이 진행됐다.
포럼은 '지방재정 자율성 강화와 자치재정권 확대'를 주제로 자치재정권 현황과 개선 방안에 대해 전문가들의 열띤 토론이 이어졌다.
첫 번째 발표자로 나선 김홍환 한국지방세연구원 연구위원은 '자치재정권의 현주소와 과제'를 주제로 지방세입 구조 분석과 지방세 중심의 지방세입 체계 필요성, 국세의 지방세 이양 방안 등을 제안했다.
이어 전성만 한국지방행정연구원 지방재정연구센터장은 중앙과 지방의 경계 명확화, 재정 운영 자율성 확대 방안, 법·제도 개정 등 '지방재정 운영의 자율성과 자치재정권의 확대 필요성'에 대해 의견을 내놨다.
마지막으로 강석 서울시 재정기획관은 시의 재정 여건과 채무감축 노력을 설명하고 국고보조율 차별 현황 등 '서울시 재정 역차별 사례와 개선 방향'을 제시했다.
종합토론에서는 김재훈 서울과학기술대학교 교수의 진행으로 금재덕 한국지방재정학회장, 강상원 한양대학교 지방자치연구소 자치분권센터장, 신가희 서울연구원 연구위원, 이세구 한국창의경제연구소 소장, 최정우 한국지방행정연구원 부연구위원 등이 지방재정 자율성 강화와 자치재정권 확대 방안에 대한 논의를 진행했다.
서울시는 공동선언문과 포럼에서 제시된 지방재정·자치재정권 확대를 위한 다양한 제언을 국회와 중앙부처에 강력하게 건의할 예정이다.
시도지사협의회, 지방재정·행정학회, 전문가 등과도 협력해 지속적인 개선을 도모하기로 했다.
오세훈 시장은 "지방자치는 30년간 시민의 삶과 함께 성장해왔지만 재정 자율성만은 제자리"라며 "서울의 재정 자율성은 곧 대한민국 지방자치의 미래"라고 강조했다.
이어 "서울시와 자치구가 한목소리로 공정한 보조와 자율적 재정운영을 요구하는 이 선언이 제도개선의 실질적 전환점이 되도록 끝까지 책임 있게 추진하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