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은행에 이어 KB국민은행도 올해 실행분 주택 구입 목적의 대출 영업을 중단했다.
다른 시중은행도 조만간 올해 대출영업을 중단할 것으로 전망돼 이사를 계획 중인 실수요자들의 불안이 커지고 있다.
서울 강서구 가양동의 대형 평수 아파트단지 모습. 정기홍 기자
금융 업계에 따르면 KB국민은행은 비대면 채널에서는 이달 22일부터, 대면 창구에서 이달 24일부터 올해 실행 예정인 주택 구입 자금용 주택담보대출 신규 접수를 제한하기로 결정했다.
다른 은행에서 KB국민은행으로 갈아타는 타행대환 대출(주택담보·전세·신용대출)과 비대면 신용대출 상품인 ‘KB스타 신용대출 Ⅰ·Ⅱ’도 22일부터 중단됐다.
다만 생활안정자금 목적의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 연내 실행 예정 건은 접수할 수 있다.
앞서 하나은행은 25일부터 올해 실행되는 주택담보대출과 전세대출 신규 접수를 제한한다고 밝혔다. 지난달 20일부터는 대출 중개인을 통한 가계대출(올해 실행분) 신규 접수를 중단했었다.
은행 관계자는 “대부분의 시중 은행이 올해 가계대출 영업을 마감하고 있다”며 “정부의 대출 총량관리가 엄격해지면서 취급가능한 한도가 크게 줄어든 영향이다”고 전했다.
정부는 '6·27 부동산 대책' 발표 당시 올 하반기(7~12월)부터 금융권의 대출 총량을 기존 대비 50% 수준으로 낮추도록 권고했다.
금융권에서는 대출 가능 금액이 당초보다 10조~20조 원 정도 줄어들 것으로 전망했다. 은행에서만 약 3조 6000억 원의 대출 총량이 줄었다.
정부는 '6·27 대책'에서 대출 한도를 6억 원으로 묶은 다음 '10·15 대책'에서 주택 가격에 따라 2억~4억 원으로 규제를 더 강화했었다.
여기에 총량 규제로 은행들이 대출 문을 잠가 실수요자들의 주택 구입 문턱이 더 높아졌다.
하지만 정부의 이 같은 규제에도 불구하고 부동산 시세는 반대로 움직이고 있다.
한국부동산원이 20일 발표한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에 따르면, 11월 셋째 주(11월 17일 기준) 서울 아파트 평균 매매가는 직전 주보다 0.20% 올라 4주 만에 상승 폭을 다시 키웠다.
대출 규제 강화, 토지거래허가제구역 확대 등으로 전체 부동산 거래건은 줄었지만 수도권 주요 도심지 주택 공급 부족으로 가격이 하락하지 않을 것이란 기대 심리가 작용하는 분위기다.
'10·15 대책' 이후 거래는 많이 줄었지만 호가는 내려가지 않는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