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웨덴 왕립과학원(한림원) 노벨위원회는 13일(현지 시각) 올해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로 창조적 파괴 개념으로 경제성장을 설파해온 3명의 학자를 공동수상자로 선정 발표했다.
수상자인 조엘 모키어(79·네델란드 출신) 박사는 미 노스웨스턴 대학에서, 필립 아기옹(69·프랑스) 박사는 콜레주 드 프랑스와 런던정치경제 대학, 캐나다 출생의 피터 하위트(79·캐나다 출신) 박사는 미 브라운 대학에서 각각 강의하고 있다.
노벨경제학상 수상자들. 왼쪽부터 조엘 모키어(79) 미 노스웨스턴 대학 교수, 필립 아기옹(69) 콜레주 드 프랑스와 런던정치경제 대학 교수, 캐나다 출생의 피터 하윗(79) 미 브라운 대학 교수. 노벨위원회
이들 3명은 경제학 연구에서 서로 대조적이지만 상호보완적이란 평가를 받는다.
경제사학자인 모키어 교수는 역사 자료를 사용해 장기 추세를 파고 들고 아기옹과 하위트 교수는 창조적 파괴가 어떻게 작동하는지를 수학적으로 계량화해 설명한다.
'창조적 파괴'는 조셉 슘페터가 1942년 저서 '자본주의, 사회주의 그리고 민주주의'를 통해 제시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노벨위원회 수상 선정위는 모키어 교수에 대해 "혁신이 자체 생성 과정을 통해 순차적으로 성공할 수 있다면 우리는 무엇인가가 작동을 했다는 것을 알 필요가 있을뿐 아니라, 왜 그렇게 되는지를 과학적으로 설명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입증했다"고 선정 이유를 설명했다. 또 "(이런 메커니즘이) 기존 이익에 도전하는 과정이기 때문에 새로운 아이디어에 개방적이고 변화를 허용하는 사회의 중요성도 입증했다"고 덧붙였다.
아기옹과 하윗 교수는 창조적 파괴의 수학적 모델을 구축한 1992년 논문 등을 통해 혁신으로 인한 지속적 성장 메커니즘을 연구했다.
두 교수는 1992년 논문에서 '창조적 파괴'를 둘러싼 수학적 모델을 구축했다. 이 논문에서 기업들이 생산 공정을 개선하고 더 나은 품질의 제품을 위해 투자하는 방식, 기존 최상위 제품 보유 기업들이 경쟁에서 밀려나는 과정을 수학적으로 규명했다.
존 해슬러 노벨경제학상 선정위원장은 "수상자들의 연구는 경제 성장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져서는 안 된다는 것을 보여준다"며 "창조적 파괴를 유지하지 않으면 우리는 다시 정체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노벨경제학상 상금은 생리학·의학, 물리학, 화학, 문학, 평화 등 5개상과 마찬가지로 1100만 스웨덴 크로나(약 16억 5000만 원)다. 모키아 교수는 110만 크로나(120만 달러, 17억 원)의 상금 중 반을 가지며 아기옹 교수와 하위트 교수가 나머지 반을 나눠 갖는다.
노벨경제학상은 알프레드 노벨의 5개 부문 본상보다 늦은 1969년부터 스웨덴 중앙은행 재원으로 만들었다. 지난해까지 56차례에 걸쳐 수여됐고 96명이 상을 받았다.
이날 경제학상 수상자 발표로 올해 6개 부문 노벨상 수상자 14명의 명단이 모두 확정됐다.
시상식은 노벨의 기일인 12월 10일 열린다.